AI-based WMS SaaS Service Platform, 루벤티스㈜
본 청약은 '투자'에 해당되는 것으로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 위험에 대한 안내를 꼭 확인해주세요.
증권종류 |
전환사채
![]() |
목표금액 | 299,995,230원 |
---|---|---|---|
1구좌당 금액 | 9,930원 | 투자가능 최소수량 | 47구좌 |
발행예정 구좌수 | 30,211구좌 | 만기일 | 2028. 06. 02 |
전환청구기간
![]() |
2025. 12. 02 ~ 2028. 05. 26 |
1주당 전환가액
![]() |
9,930원 |
연 이자율 | 7% | 청약기간 | 2025. 05. 07 ~ 2025. 05. 21 |
이자 지급주기 | 3개월 | 배정일 | 2025. 05. 30 |
배정방법 | 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 | 납입일 | 2025. 06. 02 |
명의개서 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 | 발행일 | 2025. 06. 02 |
청약증거금 예치기관 | 신한은행 | 증권 입고일 | 2025. 06. 02 |
비고 | ·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 : 8,500,080,000원 ( ☞기업가치 산정 근거 바로 가기 ) · 목표금액: 50,007,480원 → 299,995,230원('25.5.14.) · KB증권은 내부 정책 상 1,000원 미만 단위 금액 입고가 불가능하니, 금액 조정 또는 다른 증권사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
· 배정방법(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에 따라 미배정 또는 일부 배정이 될 수 있으며, 배정되지 않은 청약금은 투자예치금 계좌로 환불(2025.05.29)됩니다.
연소득(과세표준)
원
투자금액
원
소득공제액
![]() 3천만 원 이하 100% 3천만 원 초과 5천만 원 이하 70% 5천만 원 초과 30% |
0원 (투자금액의 0%) |
|
---|---|---|
공제 전 | 공제 후 | |
과세표준 | 0원 | 0원 |
소득세액 | 0원 | 0원 |
절세금액 | 0원 |
소득공제 혜택 (지방소득세 포함)
0원
이자(연 7%, 36개월)
0원
총 수익
0원
투자금액 대비 수익률
0%
·소득공제 혜택은 소득의 유형(근로소득, 사업소득),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자는 이자소득세(15.4%) 원천징수 후 지급됩니다.
· 2023년 1월 1일자 소득세법 개정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이 조정되었습니다.
2015년 11월 설립된 루벤티스㈜는 물류정보솔루션을 개발·공급하는 벤처기업입니다. 물류정보솔루션의 핵심인 창고관리솔루션(WMS)을 기반으로 AGV, 인공지능/빅데이터, iOT 기술 등을 적용한 솔루션 공급 및 시스템 구축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AI 기반의 클라우드형 SaaS 물류시스템 ‘Stockflow(스톡플로우)’로 물류 4.0시대와 스마트물류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Stockflow는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관리시스템) 창고 내의 모든 활동을 관리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구독형 물류관리서비스(WMS SaaS)로 실시간 재고 파악부터 입출고까지 한번에 처리하여 창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입니다(* 루벤티스의 구독형 창고관리솔루션의 브랜드명). 고객사 요구에 맞춰 개별 설치하는 WMS를 SaaS 방식으로 구독할 수 있으므로 도입기업은 초기 구축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기존 프로세스를 개선해 기업의 핵심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특히 향후 OMS, TMS 등 추가 모듈을 쉽게 연계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관리시스템)은 기업의 창고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주문부터 출고까지의 모든 물류 과정을 자동화해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소프트웨어로, 창고 내 모든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관련된 주문 시 시스템이 자동으로 이를 처리해 정확하게 상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물류기업은 비용 절감 및 재고 관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WMS를 도입합니다. 기존에는 WMS를 설치형(On-Premise) 소프트웨어로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글로벌 진출과 실시간성 확보 등을 위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SaaS의 강점은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하고, 고객이 필요한 기능도 온라인으로 제공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국내에도 이미 경쟁 기업이 많지만 대부분은 대기업을 대상으로 온프레미스 서비스(On- Premise. 설치형)를 하거나, 중소 및 중견기업에 맞춘 SaaS 사업을 하는 업체로 나뉩니다. 하지만 루벤티스는 기존 사업자(주로 대기업, 중견기업)들이 원하는 온프레미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중소·중견기업 업무 및 업종별 특성을 SaaS WMS의 표준기능으로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온프레미스 방식의 솔루션 라이선스 수익, WMS 구독을 통한 업무 효율화가 필요한 중견/중소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SaaS 방식의 설치료와 구독료 수익 등 크게 2가지 수익모델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가별 개별 SaaS 서비스는 많지만(Domestic 물류 SaaS에 집중) 해외 진출 기업의 각 국가를 통합하는 Global 물류 SaaS 지원 솔루션이 없어 국가별 WMS 시스템을 별도 구축하고 운영해야 하는 이중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루벤티스의 Stockflow는 국내 및 글로벌 WMS SaaS 서비스 제공과 글로벌 Fulfillment 및 Crossborder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국어 지원, 국제 규정 준수, 유연한 아키텍처 등 Global 적용을 고려하여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각 산업별로 요구되는 특성을 반영한 ‘산업별 SaaS WMS’ 서비스를 제공하고 산업별 창고 관리 업무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대규모 물류 센터에 내재화하여 대용량 서비스를 구현합니다.
이러한 기술적 경쟁력을 통해 Stockflow는 입출고 및 단순 재고 관리에 한정되지 않고 전략 기반의 적치 및 출고를 지원하여 창고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고객사별 용어 변경이 가능한 Dictionary 업로드를 통해 다국어 지원(일반 WMS SaaS는 다국어 적용 시 별도 개발 필요), UTC(협정 세계 시간) 등 국가별 시차 관리가 적용된 통합관리 기능 및 창고별 화주/매입처/상품 등 다양한 설정 기능 등을 포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루벤티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2023년 유망 SaaS 개발·육성 지원 사업’에 ‘산업별 특화 WMS SaaS 개발 및 사업화 과제’가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으며, 기술적 우수성과 성과를 인정받아 2023년 클라우드 개발 지원사업 성과발표회에서 ‘SaaS 전환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루벤티스는 다양한 산업군의 물류서비스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유통과 제조 뿐만 아니라 의료 분야에도 WMS SaaS 솔루션 개발을 완료하고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국내·외 유통 물류, 제조 물류, 병원 물류에 Stockflow SaaS WM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의류 분야에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현재 국내 대형 3자 물류사(3PL), 제조 관련 물류 기업, 배터리 전문 기업, 유통사, 건설사, 병원 등의 도입 사례를 다수 확보한 상태입니다.
❶ 유통/3PL SaaS WMS 솔루션은 유통 기업의 쇼핑몰과 같은 B2C, B2B 주문 정보를 취합하여 유통 기업의 물류 운영을 지원하는 WMS 서비스입니다. 창고별 특성에 따른 운영프로세스와 수요예측 기반의 발주 권고량 지원 등의 환경 설정 기능으로 창고재고의 최적화된 운영을 지원하고 쿠팡, 네이버, 아마존 등의 쇼핑몰 주문정보를 연계하여 지원해줍니다. 이는 마치 고객사 요구에 맞춰 개별 설치하는 ‘On Premise WMS’를 사용하는 것 같은 경험을 제공해줍니다. L*이노텍과 홍천M** 등 대기업 구축경험과 클라우드 기반 SaaS 서비스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현재 다양한 규모의 기업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❷ 제조 SaaS WMS 솔루션은 제조 물류의 특성을 반영하여 ERP 입고/출고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원자재 창고 및 완제품 창고에 대한 재고 및 자동화 운영을 지원하는 WMS 서비스입니다. On Premise는 주로 대형/중견 제조사를 대상으로 하며(L**, 물류 자동화 설비 연동/본사 물류 서비스 기반 해외 4개국 ’23년 구축 후 운영중), SaaS 서비스는 글로벌 대상으로 계약 체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현재 인도네시아 우선 추진).
❸ 병원 SaaS WMS 솔루션은 처방(처방내역/물류, 수술일정, 수술가방) 및 청구(진료 재료/의약품 필요 수량 청구)를 기반으로 구매 및 물류 요청에 대응하는 병원 물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Stockflow WMS SaaS는 3PL 및 제조 유통 기업을 대상으로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도입한 고객사들의 운영 개선효과로 검증이 되고 있어 고객 미팅에서 선정·도입까지 빠르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루벤티스는 병원물류 플랫폼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병원물류 전문기업 지세프(ZISEFF, 대표 한태희)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지세프는 5억 원 규모의 전략적투자(SI)로 루벤티스와 밀접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번 투자 및 협약을 통해 병원물류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협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이에 앞서 루벤티스는 지난해 6월 싱가포르 경영컨설팅 기업 세일즈이노베이션(Sales Innovation, SI)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다년간의 글로벌 마케팅 경험과 경영컨설팅 노하우를 보유한 세일즈이노베이션은 현재 루벤티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 물류기업과의 계약 체결에 이어 인도네시아 물류시장 글로벌 유통기업과 계약을 추진 중에 있는 등 해외파트너사를 통한 고객 확보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해외 기업에 도입되는 Stockflow WMS SaaS는 HTML5 기반으로 개발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혔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신속한 배포와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또한 다국어 및 시차관리 등 글로벌 물류환경에 최적화된 기능을 갖추고 있어, 국제물류 처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해 국가간 국제물류서비스에 큰 도움을 줍니다.
루벤티스는 그동안의 성과를 기반으로 국내 및 해외 고객 증가에 따른 매출 규모 확대 뿐만 아니라 수익성 극대화를 위해 전체 매출액의 50% 이상을 평균 수익률이 높은 SaaS 시장을 타겟으로 하여 해외 신규 고객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R&D 측면에서, 물류 SaaS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TMS 솔루션과 AI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올 2월 TMS 개발 후 On Premise 1차 적용 중이며 TMS SaaS 솔루션 서비스 확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AI 기능을 통한 서비스 고도화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수요 예측 기반의 발주 추천 기능은 3월 1차 개발을 완료하고 ’25년 3/4분기 적용을 목표로 3년치 데이터 기준 분석 및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루벤티스는 Cloud/SaaS WMS 패키지 해외 진출 확대, AGV 통합 물류관리솔루션 시장 확대, 빅데이터/인공지능 물류 예측 분석 솔루션 고도화 등을 통해 사업 안정화를 도모하고 동남아 시장을 교두보로 해외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해 글로벌 물류 패키지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나갈 것입니다.
The Global Value Creator in Logistics
“산업에 대한 Insight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Value를 창출합니다”
글로벌 물류 패키지 전문 기업으로 도약
성명 | 직위 | 학력 | 주요 경력 |
---|---|---|---|
오상규 | CEO | 중앙대학교 (경영학) |
근무경력 주요 컨설팅 및 물류수행 경험 전문분야 |
전병각 | CFO (부사장) |
서울대학교 (경제학) |
근무경력 전문분야 |
문영순 | 물류사업부 (부사장) |
서강대학교 (공학석사/정보처리) |
근무경력 전문분야 |
정동명 | 물류연구소 (수석) |
고려사이버대학교 (컴퓨터공학) |
근무경력 전문분야 |
변용민 | 솔루션사업팀 (책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 |
근무경력 전문분야 |
Stockflow는 국내 및 글로벌 WMS 물류 SaaS 서비스를 제공하여 글로벌 Fulfillment 및
Crossborder를 지원하는 플랫폼
① 글로벌 물류 시장을 지원하는 SaaS 부재
☞ 사용자별 SaaS 환경에 따른 다국어 설정 및 사용, 고객사의 국내/해외 창고가 통합된 시스템으로 운영되어야 함
② 비즈니스 Global화에 따른 WMS 시스템 구축에 많은 비용 소요
본 사업내용은 루벤티스의 WMS/TMS 물류 솔루션 개발·공급과 물류컨설팅 사업 중 핵심사업인 AI기반 SaaS 스마트 통합물류솔루션 ‘스톡플로우(Stockflow)’ 중심으로 작성되었음
1. Stockflow 소개
① 정의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내의 모든 활동을 관리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패키지 소프트웨어로 실시간 재고 파악부터 입출고까지 한번에 처리하여 창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구독형 물류관리서비스(WMS SaaS)
* 루벤티스의 구독형 창고관리솔루션의 브랜드명
② 핵심 기능
※ 참고
❶ WMS이란?
❷ 왜 Sss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방식인가?
☞ 루벤티스는 자체 기술력과 오라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바탕으로 AI 기반의 SaaS WMS를 실현
① 국내 및 글로벌 WMS 물류 SaaS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Fulfillment 및 Crossborder를 지원
② AI, 로봇, SaaS 기술 내재화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
* AGV(Automatic Guide Vehicle) : 자동유도차량, 무인운반차량
③ 국내 및 해외 창고 전반의 업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원스톱서비스 플랫폼
*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 : 협정 세계 시간, GMT 와 같은 의미로 기술적 표기로 UTC 사용
④ Global Support SaaS WMS
⑤ 산업별 WMS 적용기준
※ 루벤티스 vs 경쟁사 (* 타겟 시장 레퍼런스 비교)
2. 산업별 SaaS WMS 서비스
① 기능
② 목표 시장
구 분 | 대 상 |
---|---|
On Premise (구축형) | 국내 대형 유통사, 일본 |
SaaS (구독형) | 글로벌 대상 -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
③ 실적
<구축>
구 분 | 실 적 |
---|---|
On Premise (구축형) | R**S, 신** |
SaaS (구독형) | 홍**티, P**S, K** (일본) * 계약 추진 중 : 아** (한국), H**P (인도네시아) |
<개발>
① 기능
② 목표 시장
구 분 | 대 상 |
---|---|
On Premise (구축형) | 한국 및 일본의 병원 |
SaaS (구독형) | 글로벌 대상 - 인도네시아 우선 추진 |
③ 구축 실적
구 분 | 실 적 |
---|---|
On Premise (구축형) | A**병원(’19), H**단(’23), Y**원(’24 수주) Z** (미국 병원 물류 추진 스타트업 회사 투자 진행, 2025년 미국 병원 물류 사업 추진 협업 중) |
SaaS (구독형) | - |
① 기능
※ 제조사를 위한 WMS 솔루션 제공
② 목표 시장
구 분 | 대 상 |
---|---|
On Premise (구축형) | 한국 및 일본의 대형/중견 제조사 |
SaaS (구독형) | 인도네시아 우선 추진 |
③ 구축 실적
구 분 | 실 적 |
---|---|
On Premise (구축형) | • L** - 물류 자동화 설비 연동 • 본사 물류 서비스 기반 해외 4개국 운영 중 (’23년 구축 후 운영중) * H**, S*** - 제조 WMS 제안 추진 중 |
SaaS (구독형) | 인도네시아 우선 추진 |
❶ On Premise 솔루션 라이센스 수익 : 전용 인프라 및 커스터마이징을 중시하는 대형 고객사
❷ SaaS 구독료 수익 : 신속성과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는 중견/중소형 고객사
※ 글로벌 시장 대상으로 구독료 수익 비중 증가(예상)
① 글로벌 WMS 시장 규모
- 연 평균 7.3%로 성장 전망,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연평균 8% 전망, 아시아 시장은 2026년 5.5조 달러로 전망
- 한국 물류 시장은 연 평균 8.5% 성장 추세, 온라인 쇼핑몰은 18.0% 성장
② APAC WMS 시장 규모
※ <참고1> 병원물류 플랫폼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
물류 SaaS 전문기업 루벤티스(LUBENTIS, 대표 오상규)와 병원물류 전문기업 지세프(ZISEFF, 대표 한태희)가 병원물류 플랫폼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현재 글로벌 병원, 특히 미국의 병원물류는 2PL(2 Party Logistics, 2자 물류)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비용 손실과 의료 서비스 품질 저하라는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다. 지세프의 병원물류 운영 및 글로벌 의료시장 진입 노하우와 루벤티스의 첨단 물류관리 기술이 결합된 플랫폼을 통해 혁신적인 병원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지세프는 “최근 5억원 규모의 전략적투자(SI)를 통해 루벤티스와 밀접한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전략적 투자 및 협약을 계기로 병원물류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물류 SaaS 전문기업 루벤티스(LUBENTIS, 대표 오상규)와 병원물류 전문기업 지세프(ZISEFF, 대표 한태희)가 병원물류 플랫폼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현재 글로벌 병원, 특히 미국의 병원물류는 2PL(2 Party Logistics, 2자 물류)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비용 손실과 의료 서비스 품질 저하라는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다. 지세프의 병원물류 운영 및 글로벌 의료시장 진입 노하우와 루벤티스의 첨단 물류관리 기술이 결합된 플랫폼을 통해 혁신적인 병원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지세프는 “최근 5억원 규모의 전략적투자(SI)를 통해 루벤티스와 밀접한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전략적 투자 및 협약을 계기로 병원물류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참고2> 세일즈이노베이션과 MOU 체결
스마트 물류 솔루션 기업 루벤티스(Lubentis)와 싱가포르 경영컨설팅 기업 세일즈이노베이션(Sales Innovation, SI)이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였다.
다년간의 글로벌 마케팅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축적해 온 경영컨설팅 노하우를 보유한 세일즈이노베이션과 이번 협력으로 루벤티스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협력은 루벤티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첫걸음으로 세일즈이노베이션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마케팅 전문성을 통해 루벤티스의 솔루션을 더 많은 해외 고객사에 소개하고 성공적인 해외 사업 운영을 지원할 것이다.
스마트 물류 솔루션 기업 루벤티스(Lubentis)와 싱가포르 경영컨설팅 기업 세일즈이노베이션(Sales Innovation, SI)이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였다.
다년간의 글로벌 마케팅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축적해 온 경영컨설팅 노하우를 보유한 세일즈이노베이션과 이번 협력으로 루벤티스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협력은 루벤티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첫걸음으로 세일즈이노베이션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마케팅 전문성을 통해 루벤티스의 솔루션을 더 많은 해외 고객사에 소개하고 성공적인 해외 사업 운영을 지원할 것이다.
① 국내 고객수
② 국내·외 SaaS 이용 고객수
① 달성 전략
국내 | 해외 |
---|---|
로봇 및 물류설비업체와 파트너십 체결
|
해외 파트너십 강화
* 이외 해외 파트너 지속 발굴 추진 |
② 예상 매출
<참고1> 수익모델별 매출액
<참고2> 매출액/영업이익
투자자의 투자수익 극대화 및 EXIT를 위해 공개시장 상장 또는 상장회사 M&A를 추진할 계획
공개시장 상장 - 코넥스 상장후 코스닥 전환 상장 |
❶ 2026년 하반기 ~ 2027 상반기 코넥스 상장 목표 ❷ 코넥스 상장후 3~5년후 코스닥 이전상장 (코넥스 특례 트랙 적용) * 동종 업체 사례 : 엠로 (AI기반의 물류 IT)
→ 2025년 3월 31일 주가 52,100원 (시총 6,362억원) : 상장일 주가대비 29.8배 |
---|---|
M&A |
❶ 당사의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회사와 M&A 추진 ❷ 상장 법인과 M&A 추진시 상장사 자금으로 당사의 사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로봇, AI 등 인수도 고려 |
❶ 기업가치
루벤티스㈜의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는 8,500,080,000원(1주당 전환가액은 9,930원)으로 산정함
❷ 산정 근거
루벤티스㈜의 ’23~’27년도 평균 매출(추정포함)은 9,466백만원, 평균 당기순이익(추정 포함)은 961백만원이며, 유사업종 상장사(엠로, 포스코DX, 삼성SDS)의 PER 평균값인 28.66배수(2024년 12월 기준)를 참고할 경우 추정 기업가치는 27,540백만원으로 산정되나, 당사는 비상장사임을 고려하여 할인율 69.14%를 적용하였음
※ <참고 1> 5개년 재무제표(추정 3개년 포함)
* ’23년도 대비 ’24년도 매출 하락 요인
※ <참고 2> 5개년 순이익 추이(추정 3개년 포함)
① 특허증
② 프로그램 등록부(6건)
③ 저작권등록증(AiFlow)
④ 기타
구 분 | 리워드 내용 |
---|---|
오픈 첫날 투자 (금액별 리워드와 별개) |
|
사전예약하고 투자 (금액별 리워드와 별개) |
|
51 ~ 100구좌 투자 (506,430원 ~ 993,000원) |
|
101 ~ 302구좌 투자 (1,002,930원 ~ 2,998,860원) |
|
303 ~ 503구좌 투자 (3,008,790원 ~ 4,994,790원) |
|
504 ~ 1007구좌 투자 (5,004,720원 ~ 9,999,510원) |
|
1008 ~ 2014구좌 투자 (10,009,440원 ~ 19,999,020원) |
|
2015 ~ 3021구좌 투자 (20,008,950원 ~ 29,998,530원) |
|
3022구좌 이상 투자 (30,008,460원 이상) |
|
※ 펀딩포유 포인트몰은 다양한 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펀딩포유 투자자를 위한 멤버십 서비스입니다. ※ 포인트는 증권입고일에 일괄 지급되며, 유효기간은 적립일로부터 24개월입니다. |
이미 가입된 이메일입니다.
다른 아이디로 가입을 시도해 주세요.
가입하지 않은 이메일이거나 잘못된 비밀번호입니다.
필수 약관에 동의해 주세요.
대표자명 | 오상규 대표 |
임직원수 | 30명 |
법인설립일 | 2015/11/11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163길 10 4층(신사동, 베드로빌딩) |
연락처 | 02-465-8808 |
이메일 | info@lubentis.com |
홈페이지 | https://lubentis.com/ |
루벤티스 주식회사-주주의 온라인 소통공간
주주방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