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회원가입
  • arrow

    펀딩하면 차곡차곡 쌓이는 포인트
    이제는 포인트로 쇼핑하자!

    펀딩포유 포인트몰은 펀딩 참여 시 이용권한이
    부여되는 펀딩포유만의 멤버십 서비스입니다.

    로그인해서 내 포인트를 확인해 보세요.

    MY포인트P
HOME > 투자형 > 프로젝트 투자

AI 기반 화학물질 정보관리 플랫폼 서비스기업, ㈜뉴로라인즈

채권-공모-전환사채 소득공제

모집금액

161,025,000원

121.5%

목표금액 (1차 증액)

132,525,000원

최초 목표

50,025,000원

투자자

71명

결과

성공

청약기간

2024-08-01 ~ 2024-08-16

공지사항 목표금액 증액 완료

본 청약은 '투자'에 해당되는 것으로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 위험에 대한 안내를 꼭 확인해주세요.

증권 발행 조건

모집정보
증권종류
전환사채
만기에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상환권과 투자 후 일정기간 이후부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보통주 전환권을 가진 하이브리드형 투자상품으로 원금 상환의 안정성과 주식 전환의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어 투자자에게 유리한 투자방식입니다.

목표금액 132,525,000원
1구좌당 금액 75,000원 투자가능 최소수량 2구좌
발행예정 구좌수 1,767구좌 만기일 2027. 08. 28
전환청구기간
보유한 채권을 회사가 발행한 주식으로 전환 요청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2025. 02. 28 ~ 2027. 08. 23
1주당 전환가액
주식으로 전환할 시에 적용하는 주식의 가격입니다.

75,000원
연 이자율 7% 청약기간 2024. 08. 01 ~ 2024. 08. 16
이자 지급주기 3개월 배정일 2024. 08. 27
배정방법 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 납입일 2024. 08. 28
명의개서 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발행일 2024. 08. 28
청약증거금 예치기관 신한은행 증권 입고일 2024. 08. 28
비고
·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 6,000,000,000원
  (* 프로젝트 페이지의 '기업가치 산정 근거' 참조)
· 목표금액: 50,025,000원 → 132,525,000원('24.08.08)

· 배정방법(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에 따라 미배정 또는 일부 배정이 될 수 있으며, 배정되지 않은 청약금은 투자예치금 계좌로 환불(2024.08.26)됩니다.

투자포인트

  • POINT 1전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친환경 규제에 대응하는 지능형 화학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 POINT 2탄소총량, 유해화학물질, 데이터기반 의사결정지원, 산업 전과정 평가 등이 가능한 AI 기반 화학물질 정보관리 플랫폼
  • POINT 3대기업 중심의 PoC, MVP,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전문성 확보 및 진입장벽 구축
  • POINT 4벤처인증 기업으로 투자금액 전액 소득공제 가능

소득공제 · 이자계산기

연소득(과세표준)

투자금액

소득공제

소득공제액
소득 공제율

3천만 원 이하 100%
3천만 원 초과 5천만 원 이하 70%
5천만 원 초과 30%

0원

(투자금액의 0%)

공제 전 공제 후
과세표준 0원 0원
소득세액 0원 0원
절세금액 0원

실질 수익(예상)

  • 소득공제 혜택 (지방소득세 포함)

    0원

  • 이자(연 7%, 36개월)

    0원

  • 총 수익

    0원

  • 투자금액 대비 수익률

    0%

·소득공제 혜택은 소득의 유형(근로소득, 사업소득),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자는 이자소득세(15.4%) 원천징수 후 지급됩니다.

· 2023년 1월 1일자 소득세법 개정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이 조정되었습니다.

투자핵심노트

가장 지능화된 화학물질 정보관리로
데이터 서비스 시장을 바꿔갑니다

가장 지능화된 화학물질 정보관리로
데이터 서비스 시장을 바꿔갑니다


2017년 7월 설립한 ㈜뉴로라인즈는 화학물질 IT 전문기업으로 다양한 산업의 핵심요소인 Data에 가치를 더하고, AI 기술을 통해 산업현장과 실생활에 디지털화를 선도하는 화학물질 정보관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여러 정책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EU를 중심으로 글로벌 탄소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수출을 통한 경제성장도 기대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2026년 본격 시행 예정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유럽연합이 세계 최초로 도입하는 탄소세로 EU역 내로 수입되는 제품들 중 자국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제품에 대해 비용을 부과하는 매우 강력한 제도입니다. 이에 앞서 EU는 2023년부터 전기·시멘트·비료·철강·알루미늄 등 탄소배출이 많은 6개 품목에 대해 2025년 12월까지 전환기간 동안 탄소배출량 보고 의무를 시행하였고(시범 시행), 2026년부터 제품 탄소발자국에 대한 인증서 구매 제출을 의무화하는 등 EU에서 통용되는 모든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과 원산지 추적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전송하고 관리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글로벌적으로 화학물질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화학산업계에서는 규제리스크 및 정보 관리 이슈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화학물질 데이터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식별데이터부터 물리·화학적 특성, 유해 위험성 데이터, 노출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노동집약적인 수동 작업과 데이터 가공이 필수적으로 뒤따르고 복잡한 시스템 요구사항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국가별 다양한 규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많은 리소스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뉴로라인즈는 기존에 각 화학물질 안정성 데이터를 수동으로 수집하고 문서화하는 데서 오는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물질 데이터를 자동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DB)화해서 온라인으로 자동발급 가능한 ‘지능형 화학물질 정보관리 플랫폼 - 뉴로켐(Neuro CHEM)’을 개발·운영하고 있습니다. 뉴로켐을 통해 뉴로라인즈가 보유하고 있는 화학물질정보(43만 여건), 독성정보(67만 여건), 물성정보(47만 여건)와 글로벌 규제정보(170만 여건), 유해위험성 정보, 환경유해성 정보, 탄소배출량 및 직·간접 내재 배출량 등의 Data를 AI 기반의 SaaS 플랫폼DB API 등을 통해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자동 생성, 제품 안전환경 리포팅 서비스, 결정 알고리즘 기반 유행성 확인 및 평가 서비스, 국내·외 법 규제 자동 분석 리포팅 서비스 등을 각 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데이터 공유 방식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기 위하여 현재 Data 공유 플랫폼(VCP-X) 기반의 탄소총량·유해화학물질·공급망관리(SCM)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화학물질 정보 Data를 기반으로 글로벌 환경규제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Data 수집 체계 및 신규 사업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 비즈니스 모델


뉴로켐의 경쟁력 전략적 사업 생태계 조성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는 화학물질 분야가 가지는 전문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초기에는 사업화 생태계 조성에 우선 순위를 두고 대기업 중심의 PoC, Pilot Service를 진행하여 전문성 확보와 진입장벽 강화에 주력합니다. 이후 화학물질 정보, 탄소총량, 글로벌 환경 규제 등 빅 데이터 기반의 산업 생태계로 확장하여 이종산업과의 결합 등 다층적 파트너십을 확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 구현이 가능합니다. 차별화된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체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화학물질 정보, 독성정보, 물성정보 등에 대하여 국내·외 규제정보와 매핑을 통해 AI 기반 화학물질 정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을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화학물질 정보 Data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Data 수집 체계를 개발해나갈 예정입니다. IT 비즈니스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합니다. 뉴로켐의 서비스 제공은 화학물질 취급 및 탄소총량 이슈에 노출된 기업에게 AI 가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웹 구축이나 설치가 필요없는 SaaS 시스템 방식이며, 경쟁사는 대부분 기성화된 컨설팅 기반 매출 구조로 4차 산업과의 결합성이 낮은 반면에 뉴로라인즈는 AI와 Data 수집 체계 구축,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통한 이종산업간 결합으로 적극적인 산업 내 문제해결 방안 체제를 수립할 수 있습니다. 핵심 기술 보호를 위해 특허법인과 함께 IP-R&D 수행을 통해 지식재산권 확보 등 기술의 권리확보를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현재 특허등록 2건, 특허출원 1건이 있으며, ‘뉴로켐’ 상표 출원도 완료된 상태입니다. 또한 ISO9001/14001 인증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에 이르는 전 생산과정의 품질보증체계를 구축하였고, 영업비밀 원본증명제도 활용에 따라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수익모델은 Data 매출(연간 구독형, 1,000만원/yr), SaaS 플랫폼 매출(연간 구독형, 350만원/yr), 캐미컬 컴플라이언스 매출(수요기반 프로젝트 수행 매출, Avg=20,000만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하여 구조적인 매출을 실현하고 그 성과를 기반으로 화학전문 컴플라이언스 분야에서 부가가치 획득이 가능한 구조입니다.
Data 매출은 뉴로라인즈가 보유하고 있는 화학물질 정보(기본정보 428,486건, 독성정보 667,267건, 물성정보 473,729건, 글로벌 규제정보 1,709,396건)들을 정형화된 Data로 전환하여 기업에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SaaS 플랫폼 서비스 매출은 기업에게 규제 의무문서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자동생성서비스, 화학물질 인벤토리 Data 자동생성서비스, 제품안전환경 리포팅, 공급망 관리(SCM)서비스, 탄소총량 자동생성 서비스 등을 AI 기반 데이터 솔루션으로 자동생성 서비스하는 것을 말합니다.
케미컬 컴플라언스는 화학제품 안전법 대응, 화학물질 규제 통합 대응 등 환경정책 수행을 위한 각 기업별 맞춤형 시스템 구축서비스(컨설팅 포함) 매출입니다.
뉴로라인즈는 뉴로켐의 3가지 수익모델로 2024년 12억, 2025년 22억, 2026년 56억의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4년 6월 기준 이미 당해 매출 목표 12억원의 57%를 달성하는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1/4분기에 전년도 매출 돌파). 현재 롯데캐미칼과 PoC를 진행 중이며 PoC 이후 본격적으로 사업화가 추진될 예정입니다. 또한 2024년 8월 뉴로켐 2.0 출시 예정에 맞춰 6월부터 시작된 마케팅 본격화로 앞으로 SaaS 플랫폼과 Data 관련 매출이 집중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매출 목표에 미산입된 탄소총량 서비스의 단계별 사업화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24년 3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화학제품 관리(CHEMP) 차세대 플랫폼 구축’ 사업자 선정으로 매출 모멘텀을 확보하게 되었고, ‘AW2024(스마트제조 산업박람회)’ 참가를 통해 ’26년 예정된 탄소국경조정제도 대비를 위한 신규 사업 홍보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4 Data-Stars’에 선정됨으로써 뉴로라인즈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성장성을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글로벌 환경규제와 화학산업의 복잡한 공급망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여 AI와 IT 결합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EU가 유기화학산업을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포함하는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시장규모는 점차 크게 확대될 전망입니다. 또한 글로벌 환경규제의 방향성이 완제품에서 밸류체인 전반, 제조·공정 등 산업 전 과정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에 따른 신속하고 정확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뉴로라인즈는 화학물질 관련 분야라는 특수성과 전문성에서 기인한 공공기관 및 대기업 대상의 화학물질 컨설팅 중심에서 탈피하고 IT 비즈니스화하여 IT 기반 SaaS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통해 구조적 성장을 도모해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향후 사업화 핵심 키워드를 공급망 관리체계, 글로벌 규제 대응, 데이터 관리로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시장 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해나갈 것입니다.



비전 및 목표

다양한 사업의 핵심요소인 화학물질의 Data에 가치를 더하고 AI 기술을 통해 산업현장과 실생활에 디지털화를 선도하는 화학물질 정보관리플랫폼을 구축하여 전 세계에 파괴적 혁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조직도 및 인적 구성

조직도


주요 인력


사업배경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 방안 마련

① ’26년 시행 예정인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로 향후 EU가 유기화학 산업을 포함할 것이 확실시 되는 상황임에 따라 이에 대한 산업계 니즈 해결

② 기존 컨설팅 기반의 해결 방식을 IT 비즈니스로 전환하여 인력·시간·비용을 혁신적으로 감소


화학물질 관련 사업 Pain-Point 인식 문제 해결

  • 화학물질은 다양한 산업의 핵심 물질로 활용되지만 그로 인해 복잡한 공급망 및 규제 대응 등 고질적 문제점을 안고 있음


화학물질 규제에 대한 지능적 관리 방안 모색


사업내용

1. 비즈니스 모델

AI 기반 화학물질 정보관리 플랫폼 서비스
(탄소총량·유해물질·산업 전과정 평가)


2. 비즈니스 도메인

화학물질 정보를 자동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DB)화 해서 온라인으로 자동발급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

❶ 보유한 화학물질정보(43만 여건), 독성정보(67만 여건), 물성정보(47만 여건)와 글로벌 규제정보(170만 여건)를 AI 기반의 SaaS 플랫폼과 DB API 등을 통해 각 기업에 제공

❷ 현재 Data 공유 플랫폼 개발 및 참여를 통해 탄소총량과 유해화학물질 정보제공서비스로 확장을 추진중


뉴로켐(NeuroCHEM) 핵심 서비스

① SaaS 플랫폼, 케미컬 컴플라이언스

AS-IS AI 기반 화학물질 인벤토리 Data 자동생성, 결정 알고리즘 기반 유해성 확인 및 평가, 국내·외 법 규제 자동분석 리포팅 등 제공
TO-BE VCP-X(Data 공유 플랫폼) 기반 탄소 총량·유해물질·공급망관리(SCM) 서비스로 확장 계획
– 글로벌 CO₂ 환경 규제 대응 시스템


② Data 수집 및 제공

  • 화학물질정보, 독성정보, 물성정보를 국내·외 규제 정보와 매핑을 통해 AI 기반 화학물질 정보관리 서비스 제공
  • 국내 최대 규모의 화학물질 정보 Data를 기반으로 글로벌 환경규제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Data 수집 체계 및 신규사업 개발


서비스 로드맵


경쟁력

전략적 사업 상태계 조성

① 화학물질 분야가 가지는 전문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대기업 중심의 PoC, Pilot Service 진행 등 초기 사업화 생태계 조성에 우선 순위

② 향후 화학물질 정보, 탄소총량, 글로벌 환경규제 등 Big Data 기반의 산업 생태계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

③ 핵심 수요처이자 협력사 중심의 Top-Down Approaching을 통해 밸류체인 전반을 당사 플랫폼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


차별화된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체계

① 화학물질정보, 독성정보, 물성정보를 국내·외 규제정보와 매핑을 통해 AI 기반 화학물질 정보관리 서비스를 제공

국내 최대 규모의 화학물질 정보 Data를 기반으로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을 위해 추가적인 Data 수집 체계 및 신규사업 개발


IT 비즈니스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① 화학물질 취급 및 탄소총량 이슈에 노출된 기업에게 AI 가공 Data를 기반으로 별도의 웹 구축이나 설치가 필요 없는 SaaS 시스템 제공

② 경쟁사 대부분 기성화된 컨설팅 매출 위주이지만 당사는 이종산업 간 결합을 통해 적극적인 산업 내 문제 해결 방안 체제 수립


※ <참고1> Data 수집 및 서비스별 비교


※ <참고2> 화학 관련 시장 참여자 주요 이슈(향후 5년간 전망)

- 글로벌 규제 변화에 따른 서비스 다각화가 필요


기술 경쟁력

① 기술 보호 측면

  • ISO 9001/14001(품질경영 및 환경경영 시스템) 구축 완료
  • 특허 등록 2개 완료
  •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완료
  • 정부 R&D 지원사업에 따른 성과물에 대한 기술 임치제 도입
  • 영업 비밀 원본증명제도 활용에 따라 보안 시스템 구축


② 기술 개발역량 측면

  • 선행적으로 특허법인과 함께 IP-R&D 수행을 통한 지식재산권 확보 중이며, 특허법인과 협업하여 IP-R&D를 수행하였으며 본 기술에 대한 권리확보를 선제적으로 추진
  • 개발기술의 핵심이 되는 AI기반 화학물질 안전성 분석·예측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추가적으로 출원 준비중에 있음
  • ※ 추가 특허출원을 위한 선행특허조사 및 출원명세서 작성 협의 중


3. 수익모델

매출 구조

데이터와 플랫폼을 고도화하여 구조적인 매출을 실현하고 그 성과를 기반으로 화학 전문 컴플라이언스 분야에서 부가가치 획득

① Data 매출

  • 화학물질 정보들이 당사 연구원을 통해 정형화된 Data로 전환되어 서비스 제공
  • 화학물질/규제 정보 등 정보 실시간 업데이트 서비스

② SaaS Platform 매출

  • 규제 의무 문서인 물질안전 보건자료 자동생성 서비스
  • 산업현장&연구소 등 안전관리 및 데이터 관리에 활용

③ Chemical Compliance 매출

  • 환경정책 수행을 위한 각 기업별 맞춤형 시스템 구축 서비스(컨설팅 포함)
  • 공공기관&대기업 등 전문적 관리 전략 수립에 활용


매출 확대 로드맵


시장 규모 및 전망

  • 다양한 글로벌 환경규제와 화학 산업의 복잡한 공급망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해 AI와 IT 결합이 가속화되고 있어 시장 규모는 크게 확대될 전망임
  • 특히 EU가 유기화학산업을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포함하는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이에 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임

① 글로벌 화학물질 정보관리 시장


② 글로벌 화학물질 관련 분야별 시장 점유율


사업 전략

  • 화학물질 관련 분야의 특수성과 전문성에 따른 컨설팅 중심 시장에서 탈피하고, IT 비즈니스화하여 시장 구도를 재편하고자 함
  • 현재 글로벌 환경규제의 방향성은 완제품에서 밸류체인 전반, 제조·공정 등 산업 전 과정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에 따른 신속하고 정확한 시스템 구축이 과제임
  • 향후 사업화 핵심 키워드를 공급망 관리체계, 글로벌 규제 대응, 데이터 관리로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시장 확대 전략을 수립·실행해나갈 계획임


사업 성과

매출 성과

  • ’24년 6월 현재. 당해 매출 목표 12억의 57% 달성(¼분기 내 전년 매출 돌파)
    → 현재 롯데케미칼과 PoC 진행 중이며 사업 본격화 예정
  • ’24년 8월 NeuroCHEM 2.0 출시(예정)에 따른 글로벌 확장성 확보
    → ’24년 6월부터 마케팅 본격화, SaaS Platform과 Data 관련 매출 집중
  • 매출 목표에 미산입된 탄소총량 서비스의 단계별 사업화 실행
    → 마켓 테스트 전 오픈이노베이션, 정책과제 등과 연계


공공사업 수주 및 연속 사업을 통한 Runway 확보

① KEITI(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추진하는 화학제품관리(CHEMP) 차세대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선정 (’24년 2월)

② 국립환경과학원 살생물제 위해성 평가 시스템(BRAMS) 구축 사업 선정 (세부사업 조정 중)

* BRAMS(Biocides Risk AssessMent System)


향후 사업 계획

사업 로드맵


예상 매출

※ 산출근거


EXIT 전략

’24년∼’25년 중점적인 사업화 생태계 조성
대기업 중심의 PoC/MVP/Open Innovation을 통한 단계적 시장 진입

’26년 Scale-Up을 위한 당사 내·외부적 포텐셜 Build-Up
기업가치 확대 기준을 매출 100억으로 설정, 세부 액션플랜 실행

목표기업가치 600억 달성을 통해 IPO 및 M&A(SPA) 등 다각적 방향의 Exit 전략 확보


기업가치 및 산정 근거

❶ 기업가치

㈜뉴로라인즈의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는 6,000,000,000원(1주당 전환가액은 75,000원)으로 산정함


❷ 산정 근거

㈜뉴로라인즈의 ’23∼’25년 평균매출은 1,324백만원(’23년 확정매출 573,609천원 포함)이며, PER의 경우 동종업종 상장사(카페24, 데이타솔루션, 원티드랩) 54.01배수(’24.03 기준)을 참고했으며, 당사가 비상장사임을 고려하여 할인율 61.9% 적용(* 단, 원티드랩 271.86배수는 동종업종 상장사 평균 PER 계산에서 제외함)


※ <참고> 3개년 재무제표


APPENDIX

회사 연혁

  • (’24.3)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화학제품 관리(CHEMP) 차세대 플랫폼 구축 사업자 선정으로 매출 모멘텀 확보
  • AW2024(스마트제조 산업박람회) 참가를 통해 ’26년 예정된 탄소국경조정제도 대비를 위한 신규 사업 홍보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4 Data-Stars 선정 -당사 보유 데이터의 성장성 인정


오피스 전경

(2024.07.16 펀딩포유측 현장 방문)


주요 고객사




리워드 혜택

모집정보
구 분 리워드 내용
오픈 첫날 투자
(금액별 리워드와 별개)
  • 펀딩포유 포인트 5,000P
사전예약하고 투자
(금액별 리워드와 별개)
  • 펀딩포유 포인트 10,000P
7 ~ 13구좌 투자
(525,000원 ~ 975,000원)
  • 펀딩포유 포인트 5,000P
14 ~ 39구좌 투자
(1,050,000원 ~ 2,925,000원)
  • 펀딩포유 포인트 11,000P
40 ~ 66구좌 투자
(3,000,000원 ~ 4,950,000원)
  • 펀딩포유 포인트 36,000P
67 ~ 133구좌 투자
(5,025,000원 ~ 9,975,000원)
  • 펀딩포유 포인트 65,000P
134 ~ 266구좌 투자
(10,050,000원 ~ 19,950,000원)
  • 펀딩포유 포인트 140,000P
267 ~ 399구좌 투자
(20,025,000원 ~ 29,925,000원)
  • 펀딩포유 포인트 300,000P
400구좌 이상 투자
(30,000,000원 이상)
  • 펀딩포유 포인트 480,000P

※ 펀딩포유 포인트몰은 다양한 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펀딩포유 투자자를 위한 멤버십 서비스입니다.
(펀딩포유 포인트몰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UExCnp)
※ 포인트는 증권입고일에 일괄 지급되며, 유효기간은 적립일로부터 24개월입니다.

프로젝트 문의 신청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아래 신청서를 작성해주시면 담당자가 연락드리겠습니다.
신청 현황에 따라 등록하신 상담 희망 시간 외에 상담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상담 희망 시간 * (상담 가능 시간 : 평일 9~18시)

휴대폰 번호 * (숫자만 입력해주세요.)

회원 정보에 휴대폰 번호가 업데이트됩니다.

문의 내용 *

마케팅 정보 수신에 동의 *

마케팅 정보 수신에 동의해야만 전문상담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프로젝트 문의 신청 접수

프로젝트 문의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확인 후 펀딩포유 담당자가 연락 드리겠습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상담 가능 시간 : 평일 9~18시)

top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입니다.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을 해주세요.
본 프로젝트는 투자한도 제한이 없는 사모투자 프로젝트입니다.
사모투자는 선착순 49인의 투자회원들만 상세정보 열람 및 청약이 가능합니다.

프로젝트 참여를 신청하시려면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투자에 따른 위험 고지
본 위험고지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고만 합니다) 제117조의7 제4항에 의하여 귀하가 ㈜펀딩포유에 청약의 주문을 하기 전에 투자의 위험을 사전에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펀딩포유가 귀하에게 교부하는 것입니다.

1. 귀하는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정정)된 모집되는 증권의 취득에 따른 투자위험요소, 증권의 발행조건, 발행인의 재무상태가 기재된 서류 및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였습니다. (발행인이 증권의 발행조건과 관련하여 조기상환조건을 설정한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홈페이지를 통해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2. 귀하의 투자대상인 금융투자상품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른 “증권”에 해당하므로 원본손실의 위험성이 있으며, 청약증거금 등 투자한 자금의 원본을 회수할 수 없음에 따른 손실의 위험이 있음을 이해합니다.

3. 금번에 발행되는 비상장 증권의 발행이 한국거래소의 상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증권의 환금성에 큰 제약이 있다는 점과 예상 회수금액에 대한 일부 혹은 전부를 회수할 수 없는 위험이 있음을 이해하며, 본인은 이를 감당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4. 귀하는 시장의 상황, 제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자본시장법 등 관련법규에 근거하여 투자의 한도에 제한이 있는 경우 이를 준수하여야 함을 이해합니다.

5. 자본시장법 제117조의10제7항에 따라 전문투자자(벤처캐피탈 등)에 대한 매도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6개월간 전매가 제한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6. 정부가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해당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또한 해당 게재된 사항은 청약기간 종료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7. 청약기간 중에는 청약의 철회를 할 수 있으나, 청약기간 종료일 이후에는 청약을 철회할 수 없으며, 최종모집금액이 모집예정금액의 80%에 미달하는 경우 증권발행이 취소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8. ㈜펀딩포유는 온라인소액증권 청약과 관련하여 별도의 수수료는 징수하지 않습니다. 다만 청약증거금 이체 시 발생하는 이체수수료는 귀하가 직접 납부하여야 합니다.

9. ㈜펀딩포유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로서의 영업업무를 준수함으로써, 직접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하는 증권을 자기의 계산으로 취득하거나, 증권의 발행 또는 그 청약을 주선 또는 대리하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10. ㈜펀딩포유는 발행인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의 자격 등을 합리적이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귀하는 위 기준과 조건에 따라 청약거래에 있어 차별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위 사항들은 청약의 주문 거래에 수반되는 위험 및 제도 및 청약의 주문 거래와 관련하여 귀하가 알아야 할 사항을 간략히 서술한 것으로써 귀하의 위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위험과 중요 사항을 전부 기술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귀하는 ㈜펀딩포유 및 관계법규를 통하여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 고지서는 청약의 주문 관련 법규 등에 우선하지 못한다는 점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사모투자 안내
본 프로젝트는 투자한도 제한이 없는 사모투자 프로젝트입니다.
사모투자는 선착순 49인의 투자회원들만 상세정보 열람 및 청약이 가능합니다.

본 프로젝트의 최소 청약가능금액은 0원입니다.

프로젝트에 참여 신청하시면 투자상담역과 1:1 상담 후 청약정보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하시겠습니까?
기업정보
대표자명 김만희
임직원수 12명
법인설립일 2017/07/31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강로9길 48 202호(창전동)
연락처 02-6956-3377
이메일 contact@neurolines.net
홈페이지 http://www.neurolines.net/kor/

(주)뉴로라인즈-주주의 온라인 소통공간

주주방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