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펀딩] 디지털 금융 상품/서비스 유통 플랫폼 기업, 미트라자사리마
본 청약은 '투자'에 해당되는 것으로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 위험에 대한 안내를 꼭 확인해주세요.
증권종류 |
전환사채
![]() |
목표금액 | 300,000,000원 |
---|---|---|---|
1구좌당 금액 | 2,000원 | 투자가능 최소수량 | 50구좌 |
발행예정 구좌수 | 150,000구좌 | 만기일 | 2026. 03. 30 |
전환청구기간
![]() |
2023. 09. 30 ~ 2026. 03. 23 |
1주당 전환가액
![]() |
2,000원 |
연 이자율 | 7% | 청약기간 | 2023. 02. 24 ~ 2023. 03. 20 |
이자 지급주기 | 3개월 | 배정일 | 2023. 03. 29 |
배정방법 | 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 | 납입일 | 2023. 03. 30 |
명의개서 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 | 발행일 | 2023. 03. 30 |
청약증거금 예치기관 | 신한은행 | 증권 입고일 | 2023. 03. 30 |
비고 | · 한국법인의 현재 기업가치 : 258,128,000원 (인도네시아법인의 현재 기업가치 : 5,500,000,000원) · 목표금액: 50,000,000원 → 150,000,000원('23.03.03) → 300,000,000원('23.03.13) |
· 배정방법(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에 따라 미배정 또는 일부 배정이 될 수 있으며, 배정되지 않은 청약금은 투자예치금 계좌로 환불(2023.03.28)됩니다.
연소득(과세표준)
원
투자금액
원
소득공제액
![]() 3천만 원 이하 100% 3천만 원 초과 5천만 원 이하 70% 5천만 원 초과 30% |
0원 (투자금액의 0%) |
|
---|---|---|
공제 전 | 공제 후 | |
과세표준 | 0원 | 0원 |
소득세액 | 0원 | 0원 |
절세금액 | 0원 |
소득공제 혜택 (지방소득세 포함)
0원
이자(연 7%, 36개월)
0원
총 수익
0원
투자금액 대비 수익률
0%
·소득공제 혜택은 소득의 유형(근로소득, 사업소득),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자는 이자소득세(15.4%) 원천징수 후 지급됩니다.
· 2023년 1월 1일자 소득세법 개정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이 조정되었습니다.
2017년 설립된 미트라자사리마는 인도네시아(이하 인니) 현지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현지 시장조사, 컨설팅 지원 사업을 해오던 회사였습니다.
그러던 중, 인니 시장의 핀테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인니 중앙은행과 금융감독원이 낙후된 지방에 거주하는 국민들이 계좌를 가질 수 있게 강력한 정책을 실현하고, 그 핵심 사업으로 ‘지방은행 Digitalization’을 선정, 추진한다는 점에 착안해 2020년 5월 인도네시아 최초로 핀테크와 은행을 연결하는 디지털 금융 상품/서비스 유통 플랫폼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인도네시아 금융시장 전반에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 디지털 혁신의 흐름과는 달리 지방의 금융 환경은 아직까지 매우 열악합니다. 지역주민들은 핀테크 서비스 이용 시 편의점과 리셀러를 찾아다니면서 매번 현금을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핀테크 서비스가 한 곳에서 처리되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지만, 1.3억 명이 거주하는 지방의 금융시장으로 시중은행과 핀테크가 진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고 지방은행, 협동조합들은 디지털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지만 자본과 기술이 없어서 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미트라자사리마는 인도네시아 지방의 열악한 금융환경을 디지털화하여 1.3억명 지역주민들의 금융라이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고자 1. 통합금융플랫폼(OpenBank PLUS)을 구축하고 2. 단계별로 사업을 확장하여 지방 금융기관(지방은행, 협동조합), 핀테크, 시중은행, 솔루션 사업자, 규제기관이 참여하는 3.디지털 금융생태계를 구축하여 지방금융시장을 Digital Transformation 하고 금융서비스 격차를 해소해 나가고자 합니다.
미트라자사리마의 경쟁력은 1. 지방 금융시장 환경에서의 '제공서비스 우위'에 있습니다. 지방금융시장에서의 판매채널은 지방은행과 협동조합 그리고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로 구성됩니다,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코어뱅킹업체(기존 사업부문/ 침체시장), B2B업체(신규사업 부문/활성화 단계), B2C업체(시장 비활성화), B2B2C업체(B2B+B2C, 미개척부문)는 4가지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B2B2C 영역은 폭넓은 금융 부문의 이해와 높은 전산개발 능력이 요구되는 부문으로 B2B 업체의 기능(API로 서비스 연결 후 은행용 앱/웹 서비스 제공)과 B2C 업체 기능(대국민 서비스- 모바일뱅킹앱, 마이데이터 서비스)이 모두 구현 가능합니다. 미트라자사리마는 B2B2C 영역에 초기 진입하여 현재 독보적으로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신규 경쟁사가 미트라자사리마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지방은행을 통한 금융감독원의 사전 심사 요청을 6개월 이전에 해야 하고, 심사 시 3개월간의 준비기간이 추가 필요하므로 결과적으로 총 9개월간 GAP(방화벽)을 두고 시장을 선점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미트라자사리마가 86개 판매채널을 확보하기까지 3년이 소요되었음을 알고 있는 신규 경쟁사들은 영업이 어려운 시장환경을 이해하고 오히려 미트라자사리마의 서비스 론칭을 제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향후 신규 코어뱅킹 사업자와 제휴하여 시스템 교체가 필요한 판매채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B2C 영역에서 판매채널만을 위한 뱅킹앱이 아닌 ‘일반 MASS 고객 대상’으로 하는 수퍼앱(LINKFIN)을 출시하여 시장영역을 넓혀나갈 계획입니다.
2. 수익·비용·기능 측면에서의 차별성입니다. 경쟁사의 서비스는 단위 솔루션 제공으로 인해 여러 업체와 계약을 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서비스 제공업체가 분산된다는 점, 그리고 고정비용 외에 매건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 올드한 전문방식과 전용선으로 인해 개발 시간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트라자사리마의 서비스는 판매채널 대량 확보로 물리적 지점이 불필요하고 마케팅 비용 절감과 빠른 서비스 론칭이 가능하며, Open API 개발 방식으로 물리적 비용이 없고, 빠른 개발과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SaaS 기반 서비스로 인터넷 접속만 하면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월등합니다.
미트라자사리마는 2023년 2월 현재까지 서비스 공급업체 계약 17개(대형 시중은행 3개, 핀테크 14개), 판매 채널 계약 86개(지방은행 79개, 협동조합 6개, 리셀러 1개) 총 103개 계약 체결, 29개 서비스 론칭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4차 크라우드펀딩(2021. 10) 이후의 성과 중 주목할 부분은, 전략서비스의 일환으로 코어뱅킹 연계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 Ubimate, Tera data 등 인도네시아 현지 은행 코어뱅킹 업체와 서비스 연동을 위한 계약 협약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450만 명의 리셀러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리셀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자 자카르트 주정부 은행과 총판 계약, 협력업체인 CSNA 미니 ATM을 통해 리셀러 모집, BPR 지방은행, Koperasi 협동조합을 통한 리셀러 모집 확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중 인니 금융감독원 주관 오픈뱅킹 사업(은행↔은행 연결, 은행↔핀테크 연결)에 대한 규제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미트라자사리마가 Sandbox 1순위 대상 사업자군으로 선정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트라자사리마는 인도네시아 지방금융시장에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여 1.3억 명 지역주민들의 삶을 바꾸어 나갈 것이며, 인도네시아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ASEAN 등 동남아 금융기구와 협력하여 아세안 국가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더 나아가 한국인이 인니 시장에서 성공시킨 '유니콘 기업 1호'를 목표로 계속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
인도네시아 법인
|
한국법인(SPC)
|
※ 한국법인 설립 목적 및 역할
설립목적
|
인니법인과 한국법인의 관계
|
인도네시아 지방의 열악한 금융환경을 디지털화 ➪ 1.3억명 지역주민들의 삶을 개선 |
① 지방금융시장 Paint point 해결 방안에 주목
② 지역 거주민들의 Paint point 해결 방안에 주목
③ 인도네시아 정부정책에 주목
(플랫폼 성공 전략)
|
① 금융 유통 플랫폼 구축
② 리셀러 시장 진출
③ 모바일앱/수퍼앱을 통한 서비스 제공
④ 핵심 솔루션&물류 조달
① 지방 금융시장 환경에서의 제공서비스 우위
• 시장 환경 및 경쟁사
참고
• 지방금융시장에서 판매채널인 지방은행과 협동조합, 그리고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4가지 영역으로 나뉨
① 향후, 신규(또는 기존) 코어뱅킹 사업체와 제휴하여 시스템 교체가 필요한 판매채널에게 서비스 제공 ② B2C 영역에서 판매 채널만을 위한 뱅킹앱이 아닌 일반 MASS 고객 대상으로 당사 수퍼앱(LINKFIN)을 출시하여 시장영역을 넓혀갈 예정임 |
• 경쟁업체별 제공 서비스
구분 | 업체명 | 제공 서비스 | 밸류 |
---|---|---|---|
B2B | Ayo-connect | 각종 공과금 관련 개발용 API 제공업체 | 2,000억 |
Finantier | 각종 생활요금 관련 개발용 API 제공업체 | 800억 | |
Core-Banking | Finnet | 공과금 웹 서비스 제공, 국영기업 | 800억 |
USSI | 코어뱅킹 제공 업계 1위 200개 | ||
Telkom-sigma | 코어뱅킹 제공,국영기업 업계 2위 140개 | ||
B2C | Invelly, FLIP | 모바일뱅킹앱, 간편송금 서비스 | |
B2B2C | (미트라자사리마) OpenBank PLUS |
B2B : API로 서비스 연결 후 은행용 앱/웹 서비스 제공 B2C : 모바일뱅킹앱, 리셀러(길거리 현금 충전상) 전용앱 |
※ 미트라자사리마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경쟁력 ① 신규 경쟁사에 대한 경쟁력
② 82개 판매채널 영업에 필요한 물리적 시간 : 3년 소요
|
② 수익, 비용, 기능 측면에서의 차별성
① 계약건수(개), 시장점유율(%)
② 매출, 수익 (단위:백만 루피아)
※ 수익모델 산출 근거
103개 계약&협약 체결, 29개 서비스 론칭('23.2.6 현재) |
한국법인 투자에 대한 EXIT 플랜
|
[기업가치 산정 근거]
: (주)미트라자사리마코리아는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PT. MITRA JASA LIMA) 투자목적으로 '20.5월 설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법인은 인도네시아 법인 투자를 위한 SPC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초기 투자자의 지분율 희석이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져 후기 투자자와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매 펀딩 시 주당 가격을 상향 조정해왔습니다.
이전 1~4회차 크라우드펀딩에서 투자조건은 보통주이었으나 이번 5차펀딩에서는 투자자분들에게 유리한 방식인 전환사채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단, ‘21.10월 4차펀딩 때 투자해주신 분들의 발행가와 지분율 희석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여 이번 5차펀딩에서의 전환가격 조건은 1주당 2,000원(한국법인 기업가치 258,128,000원)으로 진행하되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에 대한 투자조건은 '21.10월과 동일한 55억원(단, 계약형태는 전환사채로 변경)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 아 래 -
[1차('20.08.06발행) 크라우드펀딩]
: 한국법인 기업가치 10,000,000원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투자조건 31억5천만원
[2차('20.12.12발행) 크라우드펀딩]
: 한국법인 기업가치 39,000,000원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투자조건 41억원
[3차('21.05.17발행) 크라우드펀딩]
: 한국법인 기업가치 92,688,400원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투자조건 45억원
[4차('21.11.16발행) 크라우드펀딩]
: 한국법인 기업가치 140,861,000원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투자조건 55억원
[現 5차 크라우드펀딩]
: 한국법인 기업가치 258,128,000원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투자조건 55억원
[참고]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기업가치 산정근거 참고
'21.10월에 진행한 4차 크라우드펀딩 당시 한국법인의 기업가치는 140,861,000입니다. 이때 인도네시아 법인 기업가치(55억원) 산정 근거는 실리콘 밸리 최대 스타트업 육성기관인 Plug and play에서 '21.10월 인도네시아 369개 핀테크 중에서 7개 우수기업으로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PT. MITRA JASA LIMA)을 선정해주었고, 당시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기업 밸류를 5백만불(한화 55억)로 평가받을 수 있었습니다.
계약&서비스
1차 펀딩 ~ 2차 펀딩
구분 | 1차 펀딩('20년 8월) | 2차 펀딩('20년 12월) |
---|---|---|
계약 | · 본 계약 3개 |
· 본 계약 14개 |
서비스 | · 4개 (오픈 완료) |
· 4개 + 6개 개발 중 (개발 완료) (개발 중) |
3차 펀딩 ~ 4차 펀딩
구분 | 3차 펀딩('21년 4월) | 4차 펀딩('21년 10월) |
---|---|---|
계약 | · 본 계약 22개 · 버카시 및 발리 지역 은행 6개 협의 및 계약 진행 중 · 인니 최대 e-Money card(Mandiri Bank) 충전서비스 론칭 협의 중 |
· 본 계약 27개 · 지방은행 Bahana 외 2개 추가 · 협동조합(코라파시) 시장 진출 : 전국 12만개 규모 협동조합 협회와 시범 사업(2~5개 협회 소속 조합 대상 진행) + 미국 USAID(미국 국제개발청, 개발도상국 지원 기관) · 리셀러(길거리 충전상) 시장 진출 교두보 확보 : 전국 수백 2천 5백명 리셀러가 확대될 CCNA사와 업무 협약 체결 |
서비스 | · 금융감독원 OJK 사전심사 통과 · 한국→인도네시아 서버 완전 이전 · 20개 + 전략서비스 개발 예정 (개발 완료) 인증 1개, 전자지갑 충전 4개, 공과금 13개, 건강보험 1개, 신용보증보험 1개
|
· Futuready사와 '보험계약' 추가 중 · Ayoconnect사와 '공과금' 추가 예정 · CRIF사와 '신용평가모형' 추가 예정 |
현재 진행 중
계약 | · 판매 채널 본 계약 82개 · BPR 지방은행 75개 · Koperasi 협동조합 6개 · 리셀러 CCNA 1개 · 영업 진행 중 51개 |
서비스 | · 제공 서비스 29개 (생활 금융 서비스) 간편송금 1개(핵심 뱅킹기능 탑재), 인증 1개, 전자지갑 충전 4개, 공과금 17개, 건강보험1개, 자동차보험1개, 오토바이보험 1개, 부동산보험 1개, 신용대출 보증보험 2개 (진행 예정 서비스) Vida eKYC 인증 1, CB(신용평가) 5, 코어뱅킹 연계 2 |
기타 성과
① 인니 금융감독원 승인 완료, 사업 지원
② 인니 Plug and play 인큐베이팅, 우수 핀테크 기업으로 선정
③ 2023년 상반기 금융감독원 주관 오픈뱅킹 사업(은행↔은행 연결, 은행↔핀테크 연결)에 대한 규제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미트라자사리마가 Sandbox 1순위 대상 사업자군으로 선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인도네시아 금융감독원 입장)
구 분 | 리워드 내용 |
---|---|
(금액별 리워드와 별개) |
|
| |
| |
| |
(5,000,000원 ~ 9,998,000원) |
|
(10,000,000원 ~ 19,998,000원) |
|
(20,000,000원 이상) |
|
※ 펀딩포유 포인트몰은 다양한 상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펀딩포유 투자자를 위한 멤버십 서비스입니다. (펀딩포유 포인트몰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UExCnp) ※ 포인트는 증권입고일에 일괄 지급되며, 유효기간은 적립일로부터 12개월입니다. |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이란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투자자(crowd)로부터 자금을 조달(funding)하는 제도로서 창업·벤처기업이 간소화된 방식으로 발행하는 주식·채권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투자자가 직접 투자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2016년 1월 크라우드펀딩제도 도입을 통해 정책자금 및 소수의 전문투자자(벤처캐피탈, 엔젤투자자) 등에 의존했던 벤처투자를 일반 대중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쉽게 유망 초기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였습니다. 제도 도입 이후 4년간 585개 기업이 1,128억 원을 조달하는 등 창업·벤처기업의 유의미한 직접 자금 모집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구분 | 자금모집방식 | 보상형태 | 투자처 | 비고 |
---|---|---|---|---|
증권형 | 주식/채권 | 투자수익 배분(배당금 등) | 창업·벤처기업 | 수익형 |
대출형 | 대부 | 원리금 상환 | 개인·법인 | |
후원형 | 제품구매 등 | 비금전적 보상(리워드) | 문화, 복지, 아이디어상품 등 | |
기부형 | 기부 | 무상 |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중개업자는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에관한법률」제5장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 등에 대한 특례에 따라 반드시 중개업자 외에 청약증거금 관리기관(신한은행)과 중앙기록관리기관(한국예탁결제원)을 갖춘 후 금융위원회에 등록하여야 합니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투자유치 기업(발행기업),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한국예탁결제원, 신한은행, 증권회사 등 기관의 연계를 통해 투명하게 운영·관리됩니다.
투자자의 청약증거금은 관리기관인 신한은행에 예치되고, 투자가 성공될 경우에만 투자금이 발행기업에 전달되며 주식/채권은 한국예탁결제원에 증권사무 위탁대행 계약을 통해 투자자에게 전달되어 합법적이고 투명하게 관리됩니다.
구분 | 일반투자자 | 적격투자자 1) | 전문투자자 2) |
---|---|---|---|
동일기업 한도 | 500만 원 | 1,000만 원 | 한도 없음 |
총 투자 한도 | 1,000만 원 | 2,000만 원 | 한도 없음 |
우리나라에는 매년 약 100여 개의 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을 합니다. 기업 상장으로 가장 큰 이익을 보는 대상은 사업 초기 투자에 참여한 엔젤투자자들인데, 이들은 낮은 배수로 투자하고 상장 시 수십/수백 배에 이르는 주식 가치 상승으로 단숨에 큰 자산을 형성하게 됩니다.
매년 투자에 성공한 자산가가 새롭게 탄생하지만 일반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정보가 부족하고 소액 투자가 불가능하여 사실상 고액 자산가들의 영역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16년 크라우드펀딩의 출현으로 일반 소액투자자들도 그러한 엔젤투자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엔젤투자는 사업 초기에 투자하므로 투자위험은 높지만 기업이 성공할 때 적게는 수 배에서 수십 배, 수백 배의 차익을 얻을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입니다.
크라우드펀딩은 벤처인증 기업의 주식/전환사채형 크라우드펀딩 참여시, 투자금액 전액(일반투자자 500만 원) 소득공제 혜택을 받습니다.
크라우드펀딩은 엔젤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을 공개하는 의미를 갖습니다. 기업이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하면, 명의개서 형태로 존재하던 기존 주식은 증권회사 계좌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통일주권으로 변경되고 주주들의 증권계좌로 입고 됩니다.
주식이 통일주권화 되면 투자자들의 계좌로 주식이 입고되기 때문에 코스닥 상장 전에도 증권사에서 계좌이체를 통해 KSM, K-OTC 등 장외 주식시장에서 보다 수월하게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기술력은 있지만 자금력이 약한 초기 벤처기업은 개인 엔젤투자나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아 기업 성장의 발판을 마련합니다. 크라우드펀딩 성공 자금을 바탕으로 후속투자 유치, 고용 확대 등의 성장단계에 진입합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기업을 홍보할 수 있고,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 기회가 주어져 더 큰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팬슈머 확보 등의 효과도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성장 단계에 진입한 후 매출 확대 및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으면 기관 투자자의 막대한 자금력을 통해 성장의 가속 페달을 밟게 됩니다. 기관 투자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이룬 기업은 대중에게 회사의 인지도를 높이고 투자자들에게 투자금 회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주식시장에 상장을 하게 됩니다.
투자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게 되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사업 초기에 투자한 엔젤투자자는 막대한 투자수익을 얻게 됩니다.
※ 크라우드펀딩 벤처투자 성공사례
|
펀딩포유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만 특화된 대한민국 No.1 엔젤투자 플랫폼입니다.
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 후원형(상품형)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하는 것에 비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주력으로 하고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펀딩포유에서 하면 달라집니다.
펀딩포유의 주주사이자 유니콘 기업 인큐베이팅 전문기업인 (주)알토란벤처스와 연계하여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성장의 발판이 되는 자금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펀딩포유의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기업은 알토란벤처스의 경영 코칭을 통해 성장성과 확장성이 부여된 비즈니스 모델로 재정비하고 지속적인 재투자를 받아 주식시장에 빠르게 상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갑니다.
기업에 투자를 한 주주는 기업의 사업 진척 사항이 항상 궁금합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매년 3월에 실시되는 주주총회에서만 제한적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펀딩포유는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한 주주가 수시로 투자기업의 사업 진척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도록 주주방을 개설해 드리고 있습니다(현재 31개 주주방 개설).
기업은 주주방을 통해 주주와의 소통 및 잠재 투자자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팬슈머로 발전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주주방을 잘 활용하여 4차례의 프로젝트에 모두 성공한 기업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M사의 경우, 1차 펀딩 성공(2020.7월) 후 개설된 주주방을 통해 기업 대표의 사업 철학 및 비전을 주주들과 공유하고 1-2주 단위로 꾸준히 사업 진척 상황을 홍보한 결과, 4개월 후에 진행한 2차 펀딩(2020. 12월)에서 목표금액의 226.3%를 달성하였고, 이후 진행한 3차 펀딩(2021년 4월)과 4차 펀딩(2021년 10월)에서 모두 목표 금액을 초과 달성하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1-4차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펀딩이 진행될수록 펀딩포유 회원들의 참여율이 높아졌다는 점입니다. 특히 3차 펀딩과 4차 펀딩에서는 전체 투자자의 93%가 펀딩포유 회원으로 이들은 펀딩포유 홈페이지 방문과 홍보메일 열람을 통해 기업의 소식을 접하고 청약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펀딩포유 홈페이지의 주주방에 올라오는 기업의 소식들을 꾸준히 접하면서 갖게 된 기업의 호감도(기업 대표의 비전&전략, 사업의 진척상황 등)는 향후 프로젝트 진행시 참여의 중요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렇게 새로 주주가 되신 분들은 기업의 서포터가 되어 기업의 후속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주주방이 기업을 홍보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입니다.
주주방은 기업의 ‘제2의 홈페이지’가 될 수 있습니다!
대표자명 | 이명준 |
임직원수 | 3명 |
법인설립일 | 2020/05/04 |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대호길 90-6 1층 B호 |
연락처 | 061-820-7114 |
이메일 | jj.kim@mitrajasalima.com |
홈페이지 | http://www.mitrajasalimakorea.kr/ |
(주)미트라자사리마코리아-주주의 온라인 소통공간
주주방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