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엔젤투자의 길라잡이
펀딩포유
2024.10.17
펀딩포유에서 진행하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에 투자하시면 투자금액 전액 소득공제를 적용받습니다.
소득공제는 일정 조건을 충족한 개인이나 법인이 과세 대상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받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본적으로 연소득에서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이 계산되기 때문에, 소득공제를 받으면 그만큼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벤처투자 소득공제’는 정부에서 민간의 벤처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로서, 투자금의 최대 3천만 원까지 100%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소득공제가 가능한 투자 형태
산출세액 = 과세표준 X 기본세율
↓
과세표준 = 종합소득금액(근로소득, 사업소득 등) - 각종 소득공제
* 소득공제를 많이 받을수록 과세표준이 줄어듭니다.
2024년 3월 기준(국세청 홈페이지 탑재)이며, 세율은 매년 바뀔 수 있음
과세표준 | 기본세율 |
---|---|
1,400만 원 이하 | 과세표준의 6% |
1,400만 원 초과~5,000만 원 이하 | 84만 원 + (1,400만 원 초과금액의 15%) |
5,000만 원 초과~8,800만 원 이하 | 624만 원 + (5,000만 원 초과금액의 24%) |
8,800만 원 초과~1억5천만 원 이하 | 1,536만 원 + (8,800만 원 초과금액의 35%) |
1억5천만 원 초과~3억 원 이하 | 3,706만 원 + (1억5천만 원 초과금액의 38%) |
3억 원 초과~5억 원 이하 | 9,406만 원 + (3억 원 초과금액의 40%) |
5억 원 초과~10억 원 이하 | 17,406만 원 + (5억 원 초과금액의 42%) |
10억 원 초과 | 38,406만 원 + (10억 원 초과금액의 45%) |
· A씨의 종합소득 과세표준이 1억인 경우 → 1,536만 원 + (1,200만 원×35%) = 1,956만 원
연간 투자한 금액 | 소득공제 인정 비율 |
---|---|
3,000만 원 이하 | 100% |
3,000만 원 초과 5,000만 원 이하 | 70% |
5,000만 원 초과 | 30% |
(예시) A씨가 1,000만 원을 벤처기업에 투자한 경우 → 투자금액 전액 소득공제
구분 | 투자 전 | 투자 후 | 비고 |
---|---|---|---|
과세표준 | 1억 원 | 9천만 원 | |
세금 | 1,956만 원 | 1,606만 원 | 350만 원 절세 |
주의사항
소득공제를 받으신 증권은 3년간 보유해야 하며, 이 기간 내에 매도하면 공제받은 세액은 추징됩니다.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2항)
❶ 투자받은 기업이 펀딩포유 주주방을 통해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제출 요청
* 이때 소득공제 시기변경을 희망하는 분들은 별도 신청서 제출 안내
❷ 기업이 중소벤처기업부의 시스템을 통해 ‘투자확인서’ 발급 신청
❸ 투자확인서 발급이 완료되면, 기업은 투자자 개개인에게 메일로 전달
❹ 투자자는 ‘투자확인서’를 근무처의 회계담당부서 또는 담당 세무사에게 제출
① 투자받은 기업이 펀딩포유 주주방을 통해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제출 요청
② 기업이 중소벤처기업부의 시스템을 통해 ‘투자확인서’ 발급 신청
③ 투자확인서 발급이 완료되면, 기업은 투자자 개개인에게 메일로 전달
벤처투자 소득공제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에 한해 적용하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투자받은 당해연도를 귀속 소득공제 시기로 하여 투자확인서 발급을 신청함
만약 다른 해(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에 소득공제를 받기를 희망하시는 경우 별도 소득공제 시기변경 신청서를 제출해야 함
① 근로소득자 – 연말정산시 (2월)
<입력 서식>
② 사업소득자 - 종합소득세 신고시(5월)
<입력 서식>
❶ 소득공제 항목 중 21번 ‘중소기업 창업투자조합출자 등’ 계산하기 클릭
❷ ‘중소기업 창업투자조합출자 계산기’의 2번 항목에 해당 공제 금액 입력
Q1. 벤처기업에 투자하면 모두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건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소득공제는 벤처기업의 증권형에 투자했을 경우에만 가능하며, 펀딩포유 프로젝트마다 소득공제 가능 여부가 표기되어 있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투자금에 대한 소득공제는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투자금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은 투자일이 포함된 당해년도부터 2년 후까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투자를 하셨다면 2024년, 2025년, 2026년 3년 중 1회에 한해 해당 투자분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당해연도가 아닌 해에 소득공제를 받으시려면 별도 소득공제 시기변경을 신청해야 합니다.
Q3. 이미 투자확인서를 발급 받았는데 소득공제 시기를 변경할 수 있나요?
소득공제 시기 변경 신청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
Q4. 소득공제 시기 변경 신청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투자년도의 종합소득과세표준 확정 신고 전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4년 투자 건은 2025년 5월 31일까지)
Q5. 투자 이후에 벤처기업이 된 경우에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나요?
초기 투자를 할 때에는 벤처기업이 아니더라도, 투자 후 3년 이내에 벤처기업으로 확인되는 경우 투자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진행된 프로젝트는 모두 투자확인서 발급이 완료되어 투자자님의 이메일로 발송되었습니다.
메일함에서 확인되지 않을 경우, 스팸 메일함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찾을 수 없거나 기타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각 주주방을 통해 요청 부탁드립니다. ☞주주방 바로가기
투자확인서가 포함된 이메일에는 연말정산에 필요한 기업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니,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서브웨이
2020.10.27 15:24
펀딩포유
2020.10.28 09:19
도전
2020.10.14 17:51
펀딩포유
2020.10.14 18:08
와썹맨
2020.10.14 17:23
펀딩포유
2020.10.14 18:07
열혈주부
2020.10.14 10:32
펀딩포유
2020.10.14 18:07
지숙
2020.10.13 17:51
펀딩포유
2020.10.14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