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조건에 따라 투자금 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상환권과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권이 있는 주식입니다.
목표금액
50,000,200원
발행가액
10,600원
현재기업가치
4,494,400,000원
현재발행 주식수
424,000주
투자가능 최소수량
43주
발행예정 주식수
4,717주
청약기간
2025. 05. 30 ~ 2025. 06. 13
배정지분율
1.10%
배정일
2025. 06. 24
배정방법
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
납입일
2025. 06. 25
명의개서 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발행일
2025. 06. 26
청약증거금 예치기관
신한은행
증권 입고일
2025. 07. 25
상환청구기간
보유한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사에게 상환 요청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2028. 06. 26
~
2032. 06. 26
전환청구기간
회사에게 보유한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 요청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2028. 06. 26
~
2032. 06. 26
상환금리
연 단리 7%
전환조건
우선주식 1주당 회사가 제시한 비율을 적용한 수만큼의 보통주식으로 전환됩니다.
우선주 1주당 보통주 1주
최저배당이율
주식의 액면가격 또는 발행가격 기준으로 회사가 제시한 이율을 적용한 금액을 우선 배당 받습니다.
액면금액의 2%
1주당 전환가액
보통주로 전환할 시에 적용하는 주식의 가격입니다.
10,600원
비고
· 상환권이 부여된 주식으로, 투자자는 발행일로부터 3년 후 이익잉여금 범위 내에서 연 단리 7%의 이자율로 상환 청구 가능. ·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 : 4,494,400,000원 ( ☞기업가치 산정 근거 바로 가기 ) · KB증권은 내부 정책 상 1,000원 미만 단위 금액 입고가 불가능하니, 금액 조정 또는 다른 증권사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 배정방법(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에 따라 미배정 또는 일부 배정이 될 수 있으며, 배정되지 않은 청약금은 투자예치금 계좌로 환불(2025.06.23)됩니다.
투자포인트
POINT 1반려동물 시장에 특화된 AI 기반 약물재창출 플랫폼기업으로 기존 검증된 약물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동물신약 개발 가능
POINT 2기술 이전 중심의 사업모델로 비만세포종, 림프종, 전염성 복막염 등 3개 적응증에 대해 현재 후보물질 도출 및 검증 단계에 있으며, 3년 내 빅파마에 신약 후보물질 라이선스 판매(LO) 가능 예상
·소득공제 혜택은 소득의 유형(근로소득, 사업소득),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23년 1월 1일자 소득세법 개정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이 조정되었습니다.
투자핵심노트
기존 검증된 약물의 데이터를 활용한 약물 재창출 전략과 AI 기반의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을 통해 반려동물 신약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합니다.
기존 검증된 약물의 데이터를 활용한 약물 재창출 전략과 AI 기반의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을 통해 반려동물 신약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합니다.
2020년 12월 설립된 ㈜케이알랩바이오(대표: 노규형)는 AI 기반 약물 재창출 기술로 반려동물의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 기업입니다. 케이알랩바이오의 모토인 ‘원헬스’는 ‘사람-동물-환경의 건강(Health)은 하나(One)’로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으로 사람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함께 하는 동물과 환경 모두 건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입니다.
창업 초기 케이알랩바이오는 반려동물 대상의 유전체 통합 분석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질병 모니터링 기술과 진단키트를 개발하여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반려동물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력사업으로 하였습니다. 이후 ‘검사(PCR)→분석(NGS)’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치료제(신약)’을 개발하는 AI 기반 약물재창출 플랫폼 사업으로 확장하고 현재 AI 약물재창출플랫폼, 반려동물 신약 파이프라인, 기반사업을 서로 연계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❶ AI 약물 재창출 플랫폼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화의 가속화 등 사회 환경이 변화하면서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에 의하면, 2022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는 국내 가구는 638만 가구로 약 1,500만 명이 넘었으며 이와 함께 반려동물을 가족이나 친구 같은 인격체로 인식하는 펫 휴머니제이션(Pet humanization) 트렌드의 확산으로 반려동물을 통해 우울감, 외로움을 치유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반려동물은 가족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은 가족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의 의약품 시장이 제약산업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성공확룔은 약 2%에 불과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새롭게 개발되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약물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데, 주된 원인은 임상시험 비용의 증가 때문입니다. 또한 신약이 임상에 도달하기까지 평균 약 10~17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치료가 시급한 환자들에게는 빠른 대안이 필요합니다. 특히 동물 약물 시장은 사람에 비해 1/10∼1/100 수준으로 규모가 작기 때문에 신약 개발에 대한 투자규모도 작아 신약 개발에 더욱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략이 바로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입니다. 약물재창출이란 이미 승인된 의약품이나 개발 중인 약물의 새로운 용도를 개발하여 여러 질병에 적용하고자 하는 방법입니다. 허가받은 안전한 약물을 활용하기 때문에 임상 시험, 안전성 평가기간을 단축하여 신약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의약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람의 감기약이 고양이의 구내염에 효과가 있다, 고혈압약이 반려견 종양 억제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는 사람의 약을 동물 약품 개발로 활용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약물 재창출은 64.3%가 부작용 관찰 연구 중 우연히 발견한 것에서 시작되었고 14개 약물 중 기전 연구로 약물 재창출된 것은 5건에 불과합니다(대부분 2000년 이후). 따라서 약물 재창출 방식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케이알랩바이오는 반려동물 시장에 특화된 AI 기반 약물재창출 플랫폼으로 기존 검증된 약물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AI로 ‘진단과 약물 재창출’을 연계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동물신약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AI 기반 약물 재창출 플랫폼 K(이하 ‘플랫폼 K’)은 관심 적응증과 관련된 생물학적 종을 선택하여 단계적 라이브러리 확대전략에 따라 FDA 약물, 실패약물→천연물 라이브러리→합성화합물/가상화합물 라이브러리 순서로 입력, 3가지 코어알고리즘을 통해 처리된 후 종간 타겟 단백질 보존성 체크, 종 특이적 독성 시뮬레이션의 과정을 거쳐 ‘후보물질 리스트+질환 연관도+우선순위 점수’ 결과물이 산출됩니다. 이 결과물은 다시 HTS 소규모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실험결과 피드백으로 제공됩니다. ‘플랫폼 K’의 코어 알고리즘은 ‘Graph DB, SNS 알고리즘, 이종 생물간 네트워크 동형성 비교(Dualized Hypergraph Conv. Network)’입니다. 이 중 ‘플랫폼 K’ 기술의 핵심인 Shared Neighborhood Score (SNS) 알고리즘은 공유된 노드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 다양한 노드간의 유사성을 평가하고, 알고리즘을 포괄적인 약물-질병-작용점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약물 재배치를 위한 유망 후보군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SNS 알고리즘은 노규형 대표가 공동 연구자로 참여한 ‘고혈압 치료제를 폐암 치료제로 재창출’ 가능하다는 내용의 논문을 통해서도 그 잠재력이 입증되었습니다. ‘플랫폼 K’의 약물 재배치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단순히 데이터 분석에만 국한되지 않고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복잡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Dualized HyperGCN mode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딥러닝 모델은 전통적인 네트워크 분석을 넘어 여러 엔티티간의 고차원 상호작용을 동시에 포착할 수 있으며 약물-질병 관계의 복잡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업내용’ 참조) ❷ 반려동물 신약 파이프라인
노령견의 21%가 다양한 형태의 암으로 사망합니다. 특히 개 피부 종양 중 가장 흔한 비만세포종은 전체 피부 종양의 16∼21%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악성이 될 가능성이 높고, 림프종은 개 종양의 7∼24%가 될 정도로 흔한 암이지만 완치 가능성이 낮아 대부분 완화적 치료를 목표로 합니다. 고양이의 경우 12%가 전염성 복막염(FIP,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이나 백혈병 바이러스(FeLV) 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사망합니다.
글로벌 반려동물 암 치료제 시장은 반려동물의 암 치료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개의 비만세포종 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56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32년까지 약 7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연평균 성장률: 3.7%). 림프종 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14.3억 달러, 2033년까지 약 27.4억 달러에 이를 것 전망되고 있습니다(연평균 성장률: 7.13%). 이러한 성장은 반려동물 암 치료에 대한 인식 증가와 함께 치료 옵션의 다양화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염성 복막염의 경우 항바이러스 치료제 GS-441524가 공식 허가되지 않은 약물로, 규제상 제약이 크고 용량 조절과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고가의 치료비용으로 일반 보호자의 접근성 낮다는 점에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케이알랩바이오는 비만세포종(개), 림프종(개), 전염성 복막염(고양이)을 대상으로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3개 적응증에 대해 가상시뮬레이션으로 약물 후보 물질을 선발하는 In silico 단계에 있으며 스크리닝 결과와 비임상 시험을 통해 플랫폼의 예측력와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비만세포종은 희귀암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MeSH(Medical SubHeading) 계층구조에서 비슷한 질병명으로 확대하여 검색한 후 HCQ에서 비만세포종(MCT) 질병군까지의 최소 경로를 탐색하여 그 경로에 포함된 모든 노드로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략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케이알랩바이오는 비만세포종에 대해 ‘2025 GG 바이오 랩스테이션 선택형 특화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전임상 시험을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이 과제를 통해 300종 후보물질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후보 5~10종 스크리닝(HTS)한 후 전임상시험(MTT assay)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림프종은 Drug/Target/Disease 관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Clarithromycin(항생제)와 Ribavirin(항바이러스제)이 림프종(Lymphoma)과 연결되는 모든 최단 경로를 탐색하며 두 경로를 포함하는 최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탐색 전략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Clarittromycin(항생제)과 Ribavirin(항바이러스제)이 림프종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주변 맥락을 통해 이들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림프종 치료제 후보물질 검증 실험을 지원하는 ‘2025 1차 메디바이오 핵심소재 서비스 실증시험’에 선정되어 현재 후보군 선택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복막염의 경우 현 치료제인 GS-441524가 RdRp(RNA-dependent RNA polymerase)를 타깃으로 설계된 뉴클레오타이드유사체로서, 바이러스 RNA 복제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공식 허가를 받지 않았으며 주사제 형태로 투약이 불편하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 발생 가능성 등의 문제가 있는 상황입니다. 케이알랩바이오는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허가 약물에 대한 약물 재창출 방식과 구조 기반 신약설계의 융합 접근(약물재창출플랫폼+구조 기반 약물설계(SBDD))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GS-441524의 기전 및 3D 결합 모델 분석 기반으로 구조 유사체 및 신규 저분자화합물 도출, Deep docking, MD 시뮬레이션, MM/GBSA 기반 후보 선별 시스템, 고양이 약물대사 특이성(CYP450, ADME profile)을 반영한 최적화 설계 방식입니다. ❸ 기반사업
기반사업은 감염병 qPCR 검사, 마이크로바이옴(NGS) 분석 등을 통해 검체 및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플랫폼의 ‘학습 데이터’ 공급원, 신약 효능의 최적 조건 확인, 발굴 기능성 물질의 사업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3가지 사업군의 수익모델은 ❶ 약물재창출 플랫폼의 경우 연구자 또는 가입사에게 SaaS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간, 건수 기반의 사용 과금이 적용된 서비스 사용료를 받습니다. ❷ 신약 파이프라인을 통한 수익은 빅파마에 신약 후보물질 라이선스를 판매함으로써 얻는 LO(License Out)이며, LO는 계약금 형태의 업프론트, 이후 진행에 따른 마일스톤, 판매량에 따른 로열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❸ 기반사업은 정기구독형 검사서비스 수수료, 보험 연계형 정밀 건강리포트 제공 수수료, 기능성 사료 및 영양제 판매비 등의 수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만성 질환 및 희귀 질환의 증가로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수요 확대,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약물 재창출 기술의 발전, 기존 약물의 안전성 데이터 활용으로 개발 기간과 비용 절감 등의 성장요인이 작용하여 글로벌 약물 재창출 시장은 2024년 약 0.44억 달러에서 2033년까지 약 1.0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연평균 성장률 9.7%). 특히 AI 기반 신약 개발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320만 달러에서 2030년까지 약 1억 6,13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연평균 성장률 31.9%).
케이알랩바이오는 기존 허가약물을 활용한 약물 재창출 전략과 AI 기반의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플랫폼 K”)을 통해 동물용 신약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임상 1상 생략이 가능한 구조를 확보하였습니다. 현재 비만세포종, 림프종, FIP 등 3개 적응증에 대한 후보물질 도출 및 전임상 진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는 임상 2상 계획서 작성 단계에 있습니다. “플랫폼 K”는 종 특이적 타깃 보존성 및 독성 예측 기능을 포함해 재현성과 예측력 높은 약물 추천이 가능하며, PCR 검사와 마이크로바이옴(NGS) 기반 기반사업을 통해 확보된 검체 및 데이터는 AI 학습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수익 기반은 Zoetis 등과의 기술이전 협상에서 실질적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케이알랩바이오는 반려동물에 특화된 AI 기반 약물 최적화 및 재창출 기술로 기존 검증된 약물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동물신약을 개발해 나갈 것입니다.
비전 및 목표
비전
사람과 동물이 함께 건강한 세상을 만드는 원헬스(One Health) 기업
: “사람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함께 하는 동물과 환경 모두 건강해야 합니다”
목표
❶ 신속하고 효율적인 동물 신약 개발 시스템 구축
약물-질병-타깃 네트워크 기반 약물재창출 플랫폼
❷ 재창출 기반 항암제·항바이러스제 개발 및 상용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 비만세포종 등 주요 적응증
❸ 글로벌 파트너십 및 기술이전 확대
수의과대학, CRO, 제약사와 협력 통한 공동개발 및 라이센싱 추진
❹ 데이터 기반 정밀수의학 실현
마이크로바이옴 및 유전체 정보 통합한 정밀 의료 적용
핵심 전략 (Core Strategies)
동물신약 개발 / 약물재창출 네트워크 기반 AI 플랫폼 운영
연구용 검체 데이터 확보
파트너십과 협력하여 연구역량 확보
동물병원 네트워크 확대
조직 구성
조직도
인적 구성
대표
이름
학력
담당 업무 및 주요 이력
노규형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서울대학교 통계물리(석,박사)
업무 총괄
NSG 분석
* 주요 이력은 아래 참조
※ 반려동물 분야 및 바이오 분야에서의 주요 이력
❶ 동물 검진센터 운영
노스벳(동물 전문 검진센터) CTO로서 연구개발 및 운영 총괄
- 검체 접수, 수거, 배송, 실험, 보고서 생성 자동화 플랫폼 개발/운영
벳데이터(노스퀘스트동물사업부에서 스핀오프) 수석연구원
- 동물 유래 검체의미생물 동정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서비스 운영
❷ 임상 미생물 동정 및 분석
노스퀘스트(MALDI-TOF 데이터 분석 회사)
- MALDI-TOF 데이터 기반 미생물 동정 DB 제작 및 동정 알고리즘 개선
- MALDI-TOF 데이터로 미생물 동정과 항생제 다제내성 검출과제 수행
- 항생제 다제내성감별하는 AI 알고리즘 개발 / 식약처 인허가
DNA Link (유전체 분석 회사) 신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부장
- 미생물 전장 유전체 시퀀싱분석 / 전사체Iso-Seq 분석
- 맞춤형 Cancer Panel 디자인 (Ion Ampliseq)
KOBIC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시스템생명정보실 실장
- 다부처유전체 사업 참여 / 암유전체과제 관리자 / 다중유전체 데이터 통합 연구
❹ 약물 유전체 통합 기술 분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물정보센터 부센터장
- 중기청과제 - 약물신규효능 검색 및 부작용 예측 (2007-2008) 수행
- 약물, 의약, 생명 정보 네트워크 통합 분석 및 이를 이용하는 PharmDB 및 웹브라우저 phExplorer 개발
- 유전자 프로파일에 기반한 조합 약물 발굴 연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물정보센터와 MOU (2022.12)
- 신약재창출을 위한 PharmDB를 동물신약 개발에 사용하기 위한 협약
기술진
이름
직위
담당업무
주요 경력
박다연
선임 연구원
실험 (NGS,PCR)
명지대학교 생명과학 이학 석사
분자생물학 실험 9년 경력
질량분석기반 미생물 진단검사 키트 개발 경력
NGS실험, RT-qPCR 키트 개발
김선명
주임 연구원
생물정보 (데이터 분석)
충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학사
생물정보학 분석 5년 경력
NGS,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논문
노진혁
선임 연구원
인공지능 (유전자 분석)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석사)
AI 데이터 분석, 딥러닝 분석, LLM
자문위원
이름
소속
협력 분야
이상원
건국대학교 수의대 교수 (수의미생물학)
연구개발 자문
-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및 병원성 세균 백신 개발 연구 진행
김정현
건국대학교 수의대 교수 (수의 내과학)
연구개발 자문
- 비만세포종에서 c-Kit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프로토콜 개발 및 특허 출원
- 반려동물 심장 질환 및 내분비 질환 연구
한병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구조 약학)
신약 재창출 자문
- 백신 설계 및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개발
- 구조생물학 기반 기전 연구
- 신약 재창출 자문.
사업 분야
「AI 약물 재창출 플랫폼을 이용한 반려동물 신약 개발」
- 데이터 기반 정밀 수의학: 검사 (PCR) → 분석 (NGS) → 치료 (신약)
* 약물 재창출 : 기존 개발된 약물을 새로운 표적이나 새로운 질환에 재사용하는 방법
신약 파이프라인 : 연구개발(R&D) 중인 신약개발 프로젝트
사업내용
1. 약물 재창출 플랫폼 구축사업
필요성
① 허가받은 안전한 약물을 활용하여 신약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성공 확률을 올림
② 동물 신약개발의 어려움을 약물재창출 전략으로 극복
※ <참고> 재창출된 약물은 비임상시험(효력시험) 자료만 필요 (안전성, 독성 관련 자료 면제)
③ 약물 재창출 방식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
지금까지의 약물 재창출은 64.3%가 부작용 관찰 연구 중 우연히 발견한 것에서 시작됨
14개 약물 중 기전 연구로 약물 재창출이 된 것은 5건에 불과 (대부분 2000년 이후)
개발 내용
① 개요
코드명
플랫폼 K
코어 알고리즘
GraphDB + SNS 알고리즘 + 이종 생물간 네트워크 동형성 비교
입력
관심 적응증과 관련 생물학적 종 선택
약물 : 단계적 라이브러리 확대 전략
- FDA 약물 → 실패약물 → 천연물 라이브러리 → 합성화합물/가상 화합물 라이브러리
처리
코어 알고리즘으로 처리 후 종간 타겟 단백질 보존성 체크
종 특이적 독성 시뮬레이션
결과물
후보물질 리스트 + 질환 연관도 + 우선 순위 점수
② 코어 알고리즘
a. 코어 SNS 알고리즘을 활용한 약물 재창출 논문 발표
내용 : 고혈압 치료제를 폐암 치료제로 재창출
b. ‘플랫폼 K’의 이종 생물간 네트워크 동형성 비교
❶ 유전체, 대사체 관점의 비교할 파생 네트워크 생성
Human ⇒ Animal(Dog/Cat)
사람과 동물의 차이를 주는 부분
유전자 수준, 대사체 수준에서의 차이
사람의 개별 유전자에 상응하는 개, 고양이의 ortholog(직계동종유전자)를 대응시켜 반려동물 GEM(유전체) 생성
Human vs Parasite(기생충)/Bacteria/Virus
❷ 각 시스템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발굴
동일한 약물이지만 기존 네트워크에서의 결과와 파생된 네트워크에서의 결과는 다를 수 있음
부족한 정보를 보강하여 지정된 질병에 대해 약물 재창출 시도
③ 종 간 타겟 보존/종 특이적 독성 시뮬레이션
사람용으로 개발된 약물을 동물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플랫폼 K’의 종 간 타겟 보존/종 특이적 독성 시뮬레이션 적용 기능
- 종(species)간 타겟 단백질 보존성 체크
- 종 특이적 독성 시뮬레이션 (Tox 모델)
- 대사 효소 및 PK 특성 비교.DME 예측
- 경로 유사성 분석
- 투여 경로 적합성 평가
지식그래프 탐색 플랫폼(KG exploration platform)
지식그래프 탐색플랫폼은약물 재배치 방식의 중요 구성요소로 대형언어모델(LLM)과 연계되어 지식그래프의 내용을 ChatGPT와 같이 자연어로 검색하고 그 결과를 해석 요약한 텍스트로 받을 수 있으며, 상호작용 가능한 서브네트워크에서 탐색/확장이 가능한 서비스임
*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수십억개 이상의 문장과 데이터를 학습하는 생성형 AI 모델로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 LLM은 자연어처리(NLP)의 한 분야로 입력된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음
① 지식그래프와 약물 재창출
그래프로 표현된 관계를 지도처럼 이용하여 기존 약물이 새로운 질병에 사용될 가능성 탐색
② 데이터 셋 구축 프로세스
<딥러닝을 위해 데이터 셋을 구성하는 방법>
아래 프로세스를 통해 포괄적이고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의 기초를 이루는 데이터셋을 만들 수 있음
❶ 드러그뱅크 및 기타 제약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출처에서 데이터를 수집
(GeneID: 30000개 3만 / Disease: 3700개 4천 / Drug: 7800개 8천 / Link: 70만개)
❷ 각 정보에 고유한 참조 ID를 태그
그래프DB
약(Drug) – 질병(Disease) – 작용점(Target) 간의 관계(연관성)을 네트워크(그래프) 형태로 구성한 DB
약물학 네트워크와 생물학 네트워크로 구성
데이터 소스
그래프 DB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말하며 연관성 데이터 소스,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문헌, 특성 데이터 소스로 구성
참조 ID 태깅
헬스케어 분야의 특성상 같은 대상에 대한 동의어가 많아,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참고하여 고유 ID를 부여하는 과정
작용점(Target)의 참조 ID : 미국 NCBI 데이터베이스의 유전자의 아이디 Gene ID 체계
약물(Drug)의 참조 ID : 미국 NCBI 화합물 데이터베이스 PubChem의 CID 체계
질병(Disease)의 참조 ID : 미국 국립 도서관 NLM의 논문 주제어 구성 체계 MeSH 중 헬스케어 부분만 사용
③ 데이터 셋 네트워크로 변환
태그된 데이터를 확보하면 네트워크 형식으로 변환
- 이 변환은 약물, 질병 및 생물학적 표적 사이에서 AI 알고리즘이 복잡한 관계를 분석하는 데 필수적이며,
- DrugBank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보면, 아스피린과 같은 약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PubChemID로 식별하고 관련 정보에 연결함
(*아스피린은 관상동맥질환(MesHID로 확인됨) 및 PTGS1 유전자(확인됨)와 연결되어 있음)
이 네트워크 표현을 통해 AI는 복잡한 연결을 탐색하고 잠재적인 새로운 연결을 식별할 수 있음
* Coronary Artery Disease : 관상동맥질환 / PTGS1 : 보통 COX1으로 불리는 유전자
* Coronary Artery Disease : 관상동맥질환 / PTGS1 : 보통 COX1으로 불리는 유전자
④ 대형언어모델(LLM)과 통합된 지식 그래프 탐색
a. 자연어 질의에 대한 결과로 텍스트 형태와 네트워크 형태의 결과물 도출
케이알랩바이오의 약물 재배치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단순히 데이터 분석에만 국한되지 않고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특히 복잡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Dualized HyperGCN model을 사용
이러한 딥러닝 모델은 전통적인 네트워크 분석을 넘어 여러 엔티티간의 고차원 상호작용을 동시에 포착할 수 있으며 약물-질병 관계의 복잡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b. (자연어 쿼리 예제) 골다공증(Osteoporosis) 치료제 후보물질 발굴 후 설명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서브네트워크 생성
케이알랩바이오 기술의 핵심은 Shared Neighborhood Score (SNS) 알고리즘으로, 이 알고리즘은 공유된 노드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 다양한 노드간의 유사성을 평가하고, 알고리즘을 포괄적인 약물-disease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약물 재배치를 위한 유망한 후보를 식별할 수 있음
SNS 알고리즘은 우리가 발표한 사례 연구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폐암 치료에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혈압 약물의 재배치를 포함하여 이미 실제 응용 분야에서 그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음
약물 재창출 알고리즘 성능 비교
* 약물 재창출을 위한 PoC 검증 방안 (In silico validation)
‘플랫폼 K’의 화합물 라이브러리 확대 전략
① 초기 약물 재창출 전략의 한계성
허가된 약물만으로 탐색 범위 한정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링크 예측은 주변 연결성 정보가 필요함
② 탐색 범위 점진적 확대 전략
카테고리별로 단계적으로 확장
소형 라이브러리(화합물 세트)에 대한 스크리닝 정보와 도킹, 구조 기반 예측 정보를 포함하도록 네트워크 확장하여 알고리즘 적용
신약 재창출 사례 연구
유전자 변이 확인, 항암제 선택, 임상시험, 자가면역질환 신약 재창출 사례 연구 (자문위원 김정현 교수)
① 비만세포종 환견에서 유전자 변이 확인을 통한 항암제 선정 (Kim et al., 2020)
수술적 절제가 불가한 콧등 (muzzle)에 비만세포종이 재발한 환견의 종양 세포에서 c-kit 유전자 변이 확인
c-kit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는 항암제 (Toceranib phosphate)를 환견에게 적용하여 완전 관해되었으며, 16개월간 재발 및 임상증상 없이 성공적으로 관리
종양세포에서 Receptor tyrosine kinase 유전자 변이 및 항암제 예측성 검사를 기반으로 선택된 항암제를 환견에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관련 연구 결과는 2020년 저널에 발표됨.
수술적 절제가 불가한 콧등 (muzzle)에 비만세포종이 재발한 환견의 종양 세포에서 c-kit 유전자 변이 확인
c-kit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는 항암제 (Toceranib phosphate)를 환견에게 적용하여 완전 관해되었으며, 16개월간 재발 및 임상증상 없이 성공적으로 관리
종양세포에서 Receptor tyrosine kinase 유전자 변이 및 항암제 예측성 검사를 기반으로 선택된 항암제를 환견에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관련 연구 결과는 2020년 저널에 발표됨.
② 개의 전신홍반루푸스에서신약 재창출 (Kim et al., 2021)
전신홍반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는 순환 중인 면역 복합체가 다양한 조직이나 장기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
다양한면역조절 효과를 가진 구충제인 Levamisole을 SLE 환견에 적용하여 성공적인 치료 반응이 확인되어 개 전신홍반루푸스의 새로운 치료제로 levamisole의 사용 가능성 제시
개의 자가면역질환에서 성공적인 신약 재창출 사례
관련 연구 결과는 2021년 저널에 발표됨.
전신홍반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는 순환 중인 면역 복합체가 다양한 조직이나 장기에 침착되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
다양한면역조절 효과를 가진 구충제인 Levamisole을 SLE 환견에 적용하여 성공적인 치료 반응이 확인되어 개 전신홍반루푸스의 새로운 치료제로 levamisole의 사용 가능성 제시
개의 자가면역질환에서 성공적인 신약 재창출 사례
관련 연구 결과는 2021년 저널에 발표됨.
개발 로드맵
시장 규모
① 글로벌 약물 재창출 시장
시장 규모 및 성장률
2024년 약 0.44억 달러에서 2033년까지 약 1.07억 달러로 성장 예상
연평균 성장률(CAGR): 9.7%
주요 성장 요인
만성 질환 및 희귀 질환의 증가로 인한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수요 확대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약물재창출기술의 발전
기존 약물의 안전성 데이터 활용으로 개발 기간과 비용 절감
주요 기업
BioXcel Therapeutics, SOM Biotech, Pfizer, AstraZeneca, Sanofi, GSK 등 글로벌 제약사
② 국내 시장 동향
AI 기반 신약 개발 시장 규모
2023년 약 2,320만 달러에서 2030년까지 약 1억 6,130만 달러로 성장 예상
연평균 성장률: 31.9%
주요 분야
AI를 활용한 약물 최적화 및 재창출
암 치료 분야에서의 AI 적용 확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AI 기반 연구 증가
주요 기업
Standigm과 같은 스타트업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정부도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투자를 확대중임
경쟁력
※ <참고> 국내외 AI 제약 기업
2. 신약 파이프라인
필요성
① 비만세포종과 림프종 치료제
암은 노령견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으며, 노령견의 21%가 다양한 형태의 암으로 사망
특히 개에게 가장 흔한 피부종양인 비만세포종과 최대 25%를 차지하고 있는 림프종의 치료제 개발이 필요
a. 비만세포종(Mast-cell tumor)
〔치료제 개발 동향〕
글로벌 반려동물 암 치료제 시장은 반려동물의 암 치료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성장
특히 개의 비만세포종 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56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32년까지 약 7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연평균 성장률: 3.7%)
→ 이러한 성장은 반려동물 암 치료에 대한 인식 증가와 함께 치료 옵션의 다양화에 기인
주요 기업
Zoetis : 세계 최대의 동물용 의약품 기업으로, 개 비만세포종 치료제인 Palladia를 개발하여 시장 선도
Elanco Animal Health : 다양한 반려동물용 항암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개 비만세포종 치료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
Virbac : 프랑스 기반의 동물용 의약품 전문 기업으로, 종양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제공
〔비만세포종 치료제의 장단점과 비용〕
b. 림프종(Lymphoma)
〔치료제 개발 동향〕
림프종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14.3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33년까지 약 27.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연평균 성장률: 7.13%)
이러한 성장은 면역요법 및 표적 치료제의 발전과 함께 림프종발생률 증가에 따른 것
→ 이러한 성장은 반려동물 암 치료에 대한 인식 증가와 함께 치료 옵션의 다양화에 기인
주요 기업
Zoetis : 림프종을 포함한 다양한 반려동물 암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보유
Elanco Animal Health : 림프종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에 주력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
Virbac : 반려동물 전용 항암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으로 림프종 치료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음
〔림프종 치료제의 장단점과 비용〕
② 바이러스성 질환
고양이의 12%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사망
전염성 복막염(FIP) 포함 바이러스 질환에 대응할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절실함
a. 전염성 복막염 치료제 동향
※ GS-441524 등의 항바이러스제 사용
GS-441524는 공식 허가되지 않은 약물로 규제상 제약이 큼
고양이 체내 흡수율·대사 특성이 사람과 달라 용량 조절과 안정성 확보가 어려움
일부 고양이에서 내성 돌연변이 발생 가능성
고가의 치료비용으로 일반 보호자의 접근성 낮음
정맥투여 등 투약 방식의 한계(자택 치료 어려움)
GS-441524: 미국 제약회사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특허(2009년)
이후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 치료와 관련된 특허 출원 (2018년,2020년)
특허 라이선스 및 사용 제한
- 길리어드사이언스는 수의학적 사용 라이선스 제공하지 않음
- FDA는 GS-441524를 동물용 의약품으로 승인하지 않음
* 렘데시비르는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용으로 개발되었다가, 코로나19 치료제로 긴급 승인됨
* GS-441524는 렘데시비르의 대사체로 고양이 FIP 치료에 효과 있다는 연구 발표됨
b. 전염성 복막염 치료 비용
개발 내용
현재 3개 적응증(비만세포종, 림프종, 고양이 FIP)에 대해 후보 물질 도출 및 검증 중
스크리닝 결과와 비임상 시험을 통해 플랫폼의 예측력과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단계
In silico :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약물 후보군을 선발하는 단계
HTS (High-throughput Screening) : 동시 다량 실험으로 후보군을 스크리닝하는단계
전임상 : 세포 수준 혹은 동물 실험으로 약의 안전성, 효과 확인. 외부 전문 위탁기관 CRO에서 수행
임상 1상 : 소수의 건강한 개체를 대상으로 안전성 확인. (약물재창출의경우 서류 심사로 대치 가능)
임상 2상 : 소규모 환자군에 대해 약을 사용하고 효과와 적정 용량 확인
임상 3상 : 많은 환자에게 약을 사용하고 효능과 부작용 종합 평가
① 비만세포종 (In silico)
비만세포종 중심의 서브 네트워크 탐색 ⇒ 후보군 선택 작업 (진행 중)
실험전략
설명 가능한 서브네트워크 구축
MCT가 희귀암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관련 정보가 부족함
MeSH(Medical SubHeading) 계층구조에서 비슷한 질병명으로 확대하여 검색
HCQ에서 비만세포종(MCT) 질병군까지의 최소 경로를 탐색한 후 그 경로에 포함된 모든 노드로 구성된 서브네트워크를 구성
서브네트워크
서브네트워크에서 HCQ와 림프종 및 pan-MCT terms간에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주변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음
Shared Neighborhood Score 계산
복잡계(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두 노드(사람)이 공유하는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활용하여 점수 계산
진행 현황
‘2025 GG 바이오 랩스테이션 선택형 특화 프로그램’ 선정으로 전임상 시험 지원
300종 후보물질을 대상으로 ❶ 임상시험 후보 5~10종 스크리닝(HTS)
❷ 전임상시험수행 (MTT assay) 예정
300종 후보물질을 대상으로 ❶ 임상시험 후보 5~10종 스크리닝(HTS) ❷ 전임상시험수행 (MTT assay) 예정
과제 개요(요약)
과제명
AI 분석을 활용한 동물 비만세포종 치료제 신약재창출 (Drug Repositioning)
목표
자가면역질환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던 기존의 약물 중 개의 비만세포종에 효과적일 가능성이 약물을 생물정보학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식별하고 신약으로 재창출하여 부작용이 있는 적은 새로운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진출 목표시장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신약은 개의 비만세포종 치료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은 제한된 효과와 여러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 약물재창출을 통해 발굴된 신약 후보물질들은 기존 약물보다 높은 효능과 낮은 부작용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이는 궁극적으로 개의 건강을 개선하고,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사 대비 차별성 (보유 기술)
기존 약물의 재창출을 통해 신약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현재 상용화된 약물 중에서 개의 비만세포종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약물을 찾아내고, 이를 새로운 치료제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개발 기간을 단축시켜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산출물 및 개발단계
* 현재 개발단계: 아이디어 기획 및 선행연구 진행 완료.
아래 두 가지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 완료된 약물이 다른 치료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발 목표의 성공확률을 높임.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신약재창출 방법론 개발
신약재창출 방법론의 POC (Proof of Concept Study) 연구 출간. 고혈압, 부종 치 료제인 TBZT가 CA9을 매개로 폐암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힘
ydroxychloroquine (HCQ), Indomethacin, Pimecrolimus, Histamine 이 포함된 비만세포종 약물 후보 선정 네트워크 구성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 모식도>
<약물 후보 선정 네트워크>
비만세포종(임상2상) 시험계획서 초안 작성 (건국대학교 김정현 교수 연구실과 협력) (예정)
※ 약물 재창출의 경우 임상 1상을 서류 심사로 대치하고 임상 2상으로 진행할 수 있어 건국대학교와 임상 2상 진행에 대해 상의하고 작성한 초안임
② 림프종(In silico)
림프종 중심의 서브 네트워크 탐색 ⇒ 후보군 선택 작업 (진행 중)
* 건국대학교 김정현 교수의 코멘트
인의에서 림프종 환자 55마리에 Clarithromycin(항생제) 단독 요법을 시도했을 때 완전관해 13마리, 부분관해 13마리로 치료 반응이 확인됨 (Ferreri et al., 2018)
인의에서 T세포 림프종 세포주에 ribavirin(항바이러스제)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성장과 복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됨 (Gomez et al., 2019)
위 사례와 유사하게, 항생제/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 중 Lymphoma(림프종)에 대한 치료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됨
탐색 전략
설명 가능한 서브네트워크 구축
Drug/Target/Disease 관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Clarithromycin과 Ribavirin이 림프종(Lymphoma)과 연결되는 모든 최단 경로를 탐색하며
위 두 경로를 포함하는 최소네트워크를 구성
서브네트워크
Clarithromycin(항생제)과 Ribavirin(항바이러스제)이 림프종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주변 맥락을 통해 이들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음
Shared Neighborhood Score 계산
공유 노드(이웃 노드)가 많을수록 두 노드간 연결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연결 확률을 계산
진행 현황
‘2025 1차 메디바이오 핵심소재 서비스 실증시험’ 지원 선정
- 림프종 치료제 후보물질 검증 실험 지원
2025년 메디바이오 핵심소재 실증시험 계획서
③ 전염성 복막염(In silico)
허가약물에 대한 약물 재창출 방식과 구조 기반 신약설계의 융합 접근 시도중
기술적 배경
FIP(Feline Infectious Peritonitis)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의 내부 돌연변이로 발생
→ 면역세포 내 복제를 유도하며 복막염, 중추신경 증상 등 전신 염증 유발
GS-441524는 RdRp(RNA-dependent RNA polymerase)를 타깃으로 설계된 뉴클레오타이드유사체로, 바이러스 RNA 복제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는 GS-441524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음
- 공식 허가 없으며 주사제 형태로 투약이 불편하고
-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 발생 가능성이 있고
- 고가·비표준 치료 환경 문제가 존재함
기술 전략
‘약물재창출플랫폼 + 구조기반 약물설계(SBDD)’의 융합 접근
기존 GS-441524의 기전 및 3D 결합 모델 분석 기반으로 구조 유사체 및 신규 저분자화합물 도출
Deep docking, MD 시뮬레이션, MM/GBSA 기반 후보 선별 시스템
고양이 약물대사 특이성(CYP450, ADME profile)을 반영한 최적 설계
3. 기반 사업
목적
케이알랩바이오의 최종 지향점은 검사(감염병 PCR 검사)→분석(마이크로바이옴 NGS 분석)→치료(신약개발)를 통한 ‘데이터 기반 정밀수의학’의 실현임
이를 위한 기반 사업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및 유전체 등 연구용 검체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하고 수익을 창출
기반사업의 역할
❶ 플랫폼의 ‘학습 데이터’ 공급원
❷ 신약 효능의 최적 조건 확인 기능
- 예) 마이크로바이옴의 항암제 반응 증가/저해
❸ 발굴 기능성 물질의 수익사업화
기반사업 내용
항목
내용
PCR 검사
감염병 검사 / 장불균형지수 검사 등
마이크로바이옴
장/구강 미생물총에 대한 분석
동호회/환우회 병원 네트워크
정상 및 질환 검체 / 임상 데이터 공급원
기능성 사료/간식
플랫폼 발굴 기능성 물질의 수익사업화
① 감염병 PCR 검사
종류
검사절차(1일 소요)
※ 케이알랩바이오만의 특화된 Primer Sequence를 통한 다양한 검사항목 제공
② 마이크로바이옴(NGS) 검사
종류
※ 마이크로바이옴 가이드북 제공(수의사용)
결과 분석 예시
<유익/유해균 세부 검출 내역>
각 균이 장내(또는 구강내)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여 제공하고 해당균의 검출여부를 제공
유해균의 경우, 검출량에 따라 상재균으로 작용하는 균과 유해균으로 작용하는 균이 다 르므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재균, 유해균을 나눠 제공
수의사 또는 보호자는 세부결과 페이지를 통해 유익균의 양을 늘려주는 영양제 처방이나 유해균을 줄일 수 있는 위생, 사료 변경 또는 진료를 받을 수 있음
③ 장불균형 지수 (Dysbiosis Index) 검사
장불균형 지수 검사(DI, Dysbiosis Index)란?
장내 미생물 환경이 정상 상태에서 벗어난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로 이 지수는 만성 장병증을 가진 개와 고양이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만성장병증 :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소화기 질환을 말하며, 설사와 구토, 체중 감소, 식욕 변화, 복부 불편감, 가스 증가와 같은 증상이 몇 주 동안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패턴을 보임. 만성 장병증환자 중 일부는 단백소실성장병증(PLE, Protein losing enteropathy)으로 진행할 수 있음
* PLE는 위장관 내에 염증, 종양, 기생충, 림프관확장증 등의 이유로 인해 필수 영양성분인 단백질 성분이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저알부민혈증/저단백질 혈증을 일으키는 질환
<검사항목과 결과 예시>
※ <참고> 장불균형지수(Dysbiosis Index)와 구간 경계값
성과
장불균형 지수 검사 누적 1,000회 돌파 - 연구 개발용 600검체, 실사용 400검체
동물병원 네트워크(벳아너스)를 통한 영업병원 확장 중
- 전환율 10% (70개 병원 ⇒ 7개 병원 연결)
㈜케이알랩바이오의’23~’27년도 평균 매출(추정 포함)은 552백만 원이며, 현재 기업가치의 경우 1차 크라우드펀딩(’23.9월) 당시의 기업가치 2,000,000,000원(프리밸류)와 아래 유사 업체(비상장사)의 추정 기업가치를 참고하였음
* (국내) 아**어: ’24.7월 기준 50억 원(누적 137억원) 투자유치 성공 후 기업가치 약 400억 원
* (미국) I사: ’25.3월 기준 1억1천만 달러(시리즈E) 투자유치 성공 후 기업가치 10억 달러
※ <참고> 5개년 재무제표(추정 3개년 포함)
APPENDIX
연혁
20.12
케이알랩바이오 창업
21.08
기술보증기금 선정
21.11
1인창조기업 사업화 아이템 경진대회 수상
22.01
기업부설 연구소 설립
22.05
경기벤처 창업보육센터 입주
22.12
서울대 약대와 신약재창출용 PharmDB 사용 MOU
23.01
알루펫 베타테스트 2차 진행
23.08
벤처기업 인증
23.09
펀딩포유 크라우드 펀딩 1.4억원 유치 성공
신용보증기금 혁신스타트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리틀펭귄’ 선정
24.02
크라우드 펀딩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선정
24.05
AI 신약개발 역량 강화 컨설팅 참여
24.09
청담 장튼튼 내과 동물병원에 장불균형지수 검사 공급 계약
24.10
2025년 광교 바이오허브 랩 스테이션 특화 프로그램 선정
24.12
빈혈/진드기, 뇌염 PCR 서비스 개발 완료, 서비스 공급
안양 SW 개발 지원사업 완료
25.04
2025년 메디바이오 핵심소재 실증시험 수요기술 제안 (림프종 치료제 후보 스크리닝)
광교 바이오허브 랩스테이션 특화 프로그램 (개 비만세포종 치료제 후보 스크리닝, 비임상)
2025 데이터 바우처 사업 (B2C 서비스앱 개발) 선정
오피스 전경
(2025.04.10 펀딩포유측 현장 방문)
1차 크라우드펀딩(2023.9.1.) 이후 성과
구분
1차펀딩 오픈일(2023.09.01) 이후 성과
현재 진행 중인 사업내용
계약 (예정 포함)
잠실ON 동물병원과 검체 공급 계약
(’23.11~’24.07 / 600여 검체)
청담 장튼튼 동물병원에 장불균형지수 검사 공급 계약 (’24.09 부터 1100만원)
벳아너스에 장불균형 지수 포함 PCR 검사,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서비스 공급 계약 (’24.10 부터)
(주)포비 유산균 복용 전후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의뢰 (’24.12 100만원)
건국대학교 수의대학 연구실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의뢰
와디즈 앵콜 펀딩 (’24.01 반려동물 건강관리 검체 키트 서비스)
코스모진텍 채널과 NGS 영업 계약 (2024)
460여 병원 직접 방문 영업 (2024년 상반기)
(사)나비야 사랑해, (주)옐캣 협력 및 구매의향서 확보
청담 장튼튼 동물병원에 장불균형지수 검사 공급 중 (’24.09 부터)
벳아너스에 장불균형 지수 포함 PCR 검사,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서비스 공급 중 (’24.10부터)
건국대학교 수의대학 연구실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의뢰 (진행 중)
코스모진텍 채널과 NGS 영업 계약
(2025년도 진행)
서비스
소화기/호흡기 패널 PCR 서비스 (개, 고양이)
빈혈/진드기 PCR 서비스 (개, 고양이)
뇌염 패널 PCR 서비스 (개, 고양이)
장불균형 지수 PCR 검사 서비스 (개, 고양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보고서 확장
처방식 및 일반식 사료 DB 구축
사료 추천 알고리즘 개발, 특허 출원
소화기/호흡기 패널 PCR 서비스 (개, 고양이)
빈혈/진드기 PCR 서비스 (개, 고양이)
뇌염 패널 PCR 서비스 (개, 고양이)
장불균형 지수 PCR 검사 서비스 (개, 고양이)
확장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처방식/일반식 사료 추천)
NGS 분석 서비스 (RNA-seq, metagenome, DNA-seq 등)
R&D (또는 기술)
건국대 연구실과 AI 신약 개발 R&D 협력 (임상시험 계획 협의)
광교 바이오허브 랩스테이션 입주 (AI 신약 개발 - 약물재창출 비임상 시험 지원 프로그램)
장불균형지수 검사 개발 완료
정부지원사업 선정
- "크라우드 펀딩 사업화 지원"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주관 (’23.12)
- "2024 SW개발 지원사업" 선정. 안양산업진흥원 주관. 사료추천 서비스 개발 주제로 선정(’24.05~10)
- "2024년 선택형 지원사업" 선정. 안양1인창조기업지원센터 주관 (지재권 선택) (’24.07)
-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제조혁신공정지원 사업" 선정. 분변이식 캡슐 제작 및 QC 컨설팅 (’24.08~10)
정부지원사업 선정
- 2025년 메디바이오 핵심소재 실증시험 수요기술 제안 (림프종 치료제 후보 스크리닝)
- 2025년 광교 바이오허브 랩 스테이션 특화 프로그램 (개 비만세포종 치료제 후보 스크리닝, 비임상시험)
만성장병증 타입(FRE, ARE, IRE) 구분 검사 개발
고양이 구내염, 복막염 대응 항바이러스제 발굴
분변이식 캡슐 제작 프로젝트
천연물 유래 비만 개선 기능성 물질 발굴
이외
AI 신약 개발 역량 강화 컨설팅 (’24.05~11 미국 바이오 투자 유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
신용보증기금의 혁신스타트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리틀펭귄’ 선정 후속으로 추가 1억 보증
IR 대회 / 데모데이 / 펫페어 참석
- 중국 바이오 투자사 초청 DEMO DAY 참석 (’24.06)
- "제4회 K-PET BIZ OPEN IR DAY IN BUSAN"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 (’24.10)
- 2024 G-FAIR KOREA 참여. 서비스 제품 전시 및 IR 발표 (’24.10)
협력기업 MOU 체결
- 바이오젠텍과 인체, 동물용 진단키트 개발
- 리신바이오와 반려동물용 수퍼항생제 개발
협력기업과의 콜라보 행사
- 2024년 동물가족 행복 페스타 참여: (사)나비야 사랑해 주관 부스에 옐캣과 함께 참여
협력기업 MOU 체결
- 에브라임인터내셔널과 원목도마 위생관리 및 애견 제품 소매 유통망
- 강아지 산책 커뮤니티 펫런과 반려동물 비만 검사 및 케어 관련 공동 연구 개발
협력기업과의 콜라보 행사
- 2025 케이알랩바이오 X 펫런 콜라보: 장 건강검진 체험단 이벤트
본 위험고지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고만 합니다) 제117조의7 제4항에 의하여 귀하가 ㈜펀딩포유에 청약의 주문을 하기 전에 투자의 위험을 사전에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펀딩포유가 귀하에게 교부하는 것입니다.
1. 귀하는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정정)된 모집되는 증권의 취득에 따른 투자위험요소, 증권의 발행조건, 발행인의 재무상태가 기재된 서류 및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였습니다. (발행인이 증권의 발행조건과 관련하여 조기상환조건을 설정한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홈페이지를 통해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2. 귀하의 투자대상인 금융투자상품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른 “증권”에 해당하므로 원본손실의 위험성이 있으며, 청약증거금 등 투자한 자금의 원본을 회수할 수 없음에 따른 손실의 위험이 있음을 이해합니다.
3. 금번에 발행되는 비상장 증권의 발행이 한국거래소의 상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증권의 환금성에 큰 제약이 있다는 점과 예상 회수금액에 대한 일부 혹은 전부를 회수할 수 없는 위험이 있음을 이해하며, 본인은 이를 감당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4. 귀하는 시장의 상황, 제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자본시장법 등 관련법규에 근거하여 투자의 한도에 제한이 있는 경우 이를 준수하여야 함을 이해합니다.
5. 자본시장법 제117조의10제7항에 따라 전문투자자(벤처캐피탈 등)에 대한 매도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6개월간 전매가 제한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6. 정부가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해당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또한 해당 게재된 사항은 청약기간 종료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7. 청약기간 중에는 청약의 철회를 할 수 있으나, 청약기간 종료일 이후에는 청약을 철회할 수 없으며, 최종모집금액이 모집예정금액의 80%에 미달하는 경우 증권발행이 취소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8. ㈜펀딩포유는 온라인소액증권 청약과 관련하여 별도의 수수료는 징수하지 않습니다. 다만 청약증거금 이체 시 발생하는 이체수수료는 귀하가 직접 납부하여야 합니다.
9. ㈜펀딩포유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로서의 영업업무를 준수함으로써, 직접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하는 증권을 자기의 계산으로 취득하거나, 증권의 발행 또는 그 청약을 주선 또는 대리하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10. ㈜펀딩포유는 발행인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의 자격 등을 합리적이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귀하는 위 기준과 조건에 따라 청약거래에 있어 차별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위 사항들은 청약의 주문 거래에 수반되는 위험 및 제도 및 청약의 주문 거래와 관련하여 귀하가 알아야 할 사항을 간략히 서술한 것으로써 귀하의 위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위험과 중요 사항을 전부 기술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귀하는 ㈜펀딩포유 및 관계법규를 통하여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 고지서는 청약의 주문 관련 법규 등에 우선하지 못한다는 점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